장내 미생물, 알고보니 우리 몸 속 ‘운동코치’였네

나흥식 고려대 의대 명예교수 2023. 5. 31. 21:1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생리학박사 나흥식의 몸 이야기]
장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산다. 장내 미생물의 균형이 깨지면 다양한 질환이 발생한다./Harvard Gazette

우리 몸에 들어와 살고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크기만 작을 뿐, 그 수는 인간의 세포보다 10배나 많습니다. 도대체 누가 몸의 주인인가 싶어요. 우리는 대장균을 식중독 주범 정도로 생각하지만, 대장균과 같은 장내 미생물이 없다면 음식을 소화할 수 없습니다.

최근 구석기 식단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구석기에는 성인병이 없었다는 이유로 그때 식단에 관심을 갖는 듯합니다. 아마존강 유역에서 아직도 구석기처럼 수렵-채집 생활을 하는 마티스 부족의 장 속에는, 멧돼지 등 야생 포유류에게서나 볼 수 있는 ‘트레포네마’속 균이 있습니다. 만일 현대인이 구석기 조상과 다른 장내 미생물을 갖고 있다면, 구석기 식단의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나흥식 고려대 의대 명예교수

운동하면 장내 미생물이 풍부해집니다. 특히 지속적 운동 후 많아지는 ‘베이요넬라’속 균은 젖산을 분해하여 운동 능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장내 미생물이 운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작년 12월 미국 펜실베이니아 의대 연구팀은 지속적으로 운동하면, 특정 장내 미생물이 도파민 분비를 증가시켜 운동 욕구를 높여준다고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보고하였습니다.

어차피 미생물과 공생하기를 인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비만이나 당뇨병은 물론 치매마저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 부족으로 유발된다고 하니, 꾸준히 운동하여 장내 미생물을 풍부하게 만들어 봅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