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경기도, 지원정책 적극 발굴... 희생자 넋 기려야” [정전 70주년 특별기획]

최현호 기자 2023. 5. 31. 20:5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추모공원 조성·유전자 감식 등 입 모아
청소년 역사교육 위한 인력 구성도 조언
(왼쪽부터)김태열 한국보훈포럼회장, 김익한 명지대 기록정보과학대학원 교수, 최홍규 경기사학회장

 

전문가들은 6·25전쟁 당시 무고하게 희생된 민간인과 유족에게 적절한 보상을 지원하기 위해선 정치권과 함께 경기도 역시 적극적인 정책연구 및 진상 규명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보훈포럼회장인 김태열 영남이공대 교수는 “경기도는 전문가 의뢰로 6·25전쟁 당시 일어났던 도내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전수조사 및 진상 규명 정책보고서 연구 용역을 선행해야 한다”며 “이를 근거로 정기적인 학술세미나를 열어 올바른 지원 정책을 발굴하고 희생탑과 추모공원 조성을 위해 사회적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는 정부,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와 함께 6·25전쟁 민간인 희생자 유해 발굴이 진행 중인 지역 외에도 부지 매입과 검체 수집, 유전자 감식, 유골 유족 인계 등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아울러 역사학자를 비롯해 보훈학자, 변호사,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재판 없이 무고한 이들이 희생된 일이 없는지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금정굴 유족회는 정부에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지난 1995년 직접 발굴에 나서 153구의 유해를 찾아냈다. 사진은 발굴 당시 촬영된 유해. 조주현기자

공교육을 통해 억울하게 피해를 입은 민간인 희생자를 기억하고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알리는 것이 올바른 진상 규명의 첫걸음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익한 명지대 기록정보과학대학원 교수는 “교육과 기념, 기록을 통해 민간인 희생자와 유가족에 대한 권익 보호와 명예 선양을 이끌어내야 한다”며 “정치적 이념을 떠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고 설명하는 것이야말로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가는 힘이다. 6·25전쟁 당시 일어난 민간인 희생을 단순히 개인의 일로 덮어둘 것이 아니라 사회공동체의 이야기로 풀어 나가고 이를 통해 다가올 미래의 문제에 대입, 공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정치권과 교육계는 책임을 통감하고 청소년들에게 바른 역사의식을 심어줘야 한다”며 “잘못된 역사인식으로 폄하된 부분이 있었다면 왜곡된 부분이 바로잡힐 수 있도록 심도 있는 추가 연구를 위해 전담기관과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최홍규 경기사학회장도 “도는 도교육청과 함께 억울하게 희생된 선대를 기억할 수 있는 대안책을 마련해야 한다. 교사의 개인적인 역량으로 민간인 희생 및 피해를 설명하지 않으면 이러한 사실이 있었는지조차 미래세대는 알 수 없을 것”이라며 “다만 이념 차이에 의한 논쟁이 확산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합의를 통해 객관적인 사실을 기록하고 교육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ON팀


※ ‘경기ON팀’은 어두운 곳을 밝혀(Turn on) 세상에 온기(溫氣)를 전합니다.

최현호 기자 wti@kyeonggi.com
이정민 기자 jmpuhaha@kyeonggi.com
황호영기자 hozero@kyeonggi.com
김보람 기자 kbr13@kyeonggi.com
손사라 기자 sarah@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