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두심 “김만덕 국제상 제정해야”

임성준 2023. 5. 31. 2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시대에 나눔을 실천한 김만덕(1739∼1812년)을 기려 '김만덕 국제상'을 제정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31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8회 제주포럼 '나눔과 평화, 김만덕 국제상 제정을 통한 국제적 협력과 연대' 세션에서 제주 출신 배우 고두심씨는 기조강연을 통해 "김만덕의 도전과 나눔 정신을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계승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며 김만덕 국제상 제정을 제안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포럼 기조강연서 제안

조선시대에 나눔을 실천한 김만덕(1739∼1812년)을 기려 ‘김만덕 국제상’을 제정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31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8회 제주포럼 ‘나눔과 평화, 김만덕 국제상 제정을 통한 국제적 협력과 연대’ 세션에서 제주 출신 배우 고두심씨는 기조강연을 통해 “김만덕의 도전과 나눔 정신을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계승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며 김만덕 국제상 제정을 제안했다.

김만덕재단 이사를 맡고 있는 고씨는 “김만덕은 여성, 신분, 지역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뛰어넘어 성공한 최초의 대한민국 여자 거상이었다. 또 자신의 전 재산을 내놓아 재난으로 굶어 죽어 가는 제주 사람들을 살린 조선시대 최초의 자선사업가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31일 오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8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나눔과 평화, 김만덕국제상 제정을 통한 국제적 협력과 연대’ 세션에서 배우 고두심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김만덕기념관 제공
그는 “김만덕이 살았던 시대, 영국에서는 자본주의가 태동하고 있었고 조선에서는 상품화폐 경제가 막 시작됐던 시기였다”며 “김만덕은 이 시절 실학자들의 생각을 먼저 실천하면서 육지와 섬의 상품 교역을 통해 박리다매와 유통구조 혁신으로 수입을 올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만덕은 ‘재물을 잘 쓰는 자는 밥 한 그릇으로도 굶주린 사람의 인명을 구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썩은 흙과 같다’고 했다. 돈을 벌면 어떻게 써야 하는지, 이익의 사회 환원이라는 것을 직접 실천을 통해 알렸다”고 말했다.

그는 “이것이 바로 김만덕의 정신을 계승하고, 그녀를 세계적 인물로 만들어야 할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19가 공식 종료됐지만, 이 기간 부의 불평등 현상은 더 심해졌다”며 “백신 제조 기술을 공유해 더 많은 지역에서 백신을 생산하고 분배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었지만 우리는 그러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김만덕은 지역, 신분, 성별, 직업 등 여러 차별에도 주변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자기가 가진 모든 것을 내놓았다”며 “김만덕의 나눔 정신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절실하게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양원찬 김만덕재단 이사장은 “김만덕 국제상의 제정과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제주도·제주도의회·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김만덕재단 4자간의 태스크포스 구성을 제안한다”며 “TF에서 김만덕 국제상 제정에 대한 전반을 속도감 있게 계획하고 실행해 빠른 시일내에 제주포럼에서 첫 번째 김만덕 국제상 시상식이 개최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성중 제주도 행정부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국제상을 통해 세계 평화의 섬 가치와 김만덕 정신을 세계와 공유하고 각국에서 활약하는 김만덕들을 발굴하고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양영철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이사장은 “김만덕은 제주 최고의 글로벌 브랜드”라며 “김만덕 국제상의 경쟁력과 권위를 높이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김만덕은 기녀에서 조선 최고의 거상으로 거듭난 실존 인물이다.

김만덕은 조선 후기 1794년(정조 18년) 제주에 흉년이 들자 전 재산을 털어 사들인 곡식을 나눠줘 굶주림에 허덕이던 백성을 구했다. 이를 전해 들은 정조는 김만덕에게 내의원에 속한 여의 가운데 으뜸인 ‘의녀반수’라는 벼슬을 내렸다.

이후 가난한 집안 출신에다 전직 기생이었던 여성을 사대부들이 앞다투어 칭송했다. 당시 좌의정이던 채제공은 ‘만덕전’을 지어 그녀에게 전달했다. 추사 김정희도 ‘은광연세(恩光衍世·은혜로운 빛이 여러 세대로 이어진다)’라는 글을 지어 김만덕의 선행을 찬양했다.

제주에서는 1980년부터 김만덕의 나눔과 봉사의 삶을 후대에 계승하기 위해 김만덕상을 제정해 55명의 여성에게 시상해왔다.

제주=임성준 기자 jun2580@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