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오피니언리더] 창업 30년 만에 `시총 1조달러` 이룬 엔비디아 CEO 젠슨 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반도체기업 엔비디아가 30일(현지시간) '시가총액 1조 달러 클럽'에 가입하면서 이 회사의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60·사진)의 면면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시총 1조 달러 돌파는 황 CEO가 서른살 때인 지난 1993년 엔비디아를 창업한 지 꼭 30년 만입니다.
엔비디아의 시총이 1조 달러를 돌파하면서 지분 가치도 350억 달러(약 46조350억원)에 이르게 됐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반도체기업 엔비디아가 30일(현지시간) '시가총액 1조 달러 클럽'에 가입하면서 이 회사의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60·사진)의 면면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시총 1조 달러 돌파는 황 CEO가 서른살 때인 지난 1993년 엔비디아를 창업한 지 꼭 30년 만입니다. 그는 어린 시절 대만과 태국에서 지내다가 10살 때인 1973년 미국으로 건너갔지요. 그의 부모는 당시 사회적 불안 때문에 그를 미국의 친척에게 보냈다고 합니다.
켄터키주를 거쳐 오리건주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황 CEO는 1984년 오리건 주립대에서 전기공학 학사를, 1992년 스탠퍼드대에서 석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습니다. 대학 졸업 후 반도체 기업 LSI 로지스틱스와 AMD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를 담당하다가 1993년 마이크로시스템에서 그래픽 칩세트를 설계하던 커티스 프리엠, 전자기술 전문가 크리스 말라초스키와 함께 엔비디아를 설립했습니다.
컴퓨터 게임을 즐기던 그는 중앙처리장치(CPU)가 컴퓨터 시장을 지배하고 있던 당시, 앞으로 3D 그래픽 가속 기술이 도래할 것이라 믿고, 3D 게임 시장을 노렸습니다. 1995년 오디오와 그래픽을 하나로 통합한 형태의 그래픽 카드 'NV1'을 선보였지만 별다른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요.
하지만 2년 뒤 선보인 두 번째 그래픽 칩인 NV3(리바 128)가 3D 게임 시장 확장과 맞물리면서 인기를 끌면서 전환점을 맞았습니다. 이어 1999년 최초의 지포스 제품군인 '지포스 256'(NV10)을 내놓았습니다. 이는 처음으로 CPU 도움 없이 GPU 자체적으로 3D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황 CEO는 이를 '그래픽 처리 장치'(GPU)라고 불렀습니다. 이때부터 GPU는 PC의 핵심인 CPU와 동급으로 여겨지기 시작했습니다.
엔비디아는 2006년 병렬 컴퓨팅 플랫폼인 '쿠다'(CUDA)에 이어 2010년 CPU를 대신해 모든 연산 및 처리를 하는 GPU의 범용 연산인 GPGPU를 선보이며 칩 생태계를 확장했습니다. 이는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와 슈퍼컴퓨터에 공급되는 것은 물론, 많은 데이터를 한꺼번에 신속하게 처리해야 하는 인공지능(AI)의 딥러닝에 널리 활용되면서 전 세계 AI 시장을 석권하고 있습니다.
황 CEO는 엔비디아 지분의 약 3.5%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시총이 1조 달러를 돌파하면서 지분 가치도 350억 달러(약 46조350억원)에 이르게 됐습니다.
박영서 논설위원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2살 초등생과 성관계 후 출산시킨 20대男…징역 1년8개월
- 칸에 등장한 `올가미 드레스`…여배우가 온몸으로 외친 메시지
- “어느 남쪽의 노을 닮은 부부”…文·김정숙 여사, ‘꿀 떨어지는’ 단란한 한 때
- 펄펄 끓는 기름솥에 개 던져 죽여…멕시코 대통령 "용납 못해"
- 조기숙 “조민, 母 감옥 보내놓고 유튜브”…김주대 “웃으며 다녀야 효도”
- 바이든, 차노조 파업현장서 시위동참…"현직 美 대통령으론 처음"
- [ESG성패, 데이터에 달렸다] 객관적 데이터없이 `친환경` 위장… 가면 쓴 `그린워싱` 이제 그만
- 내집마련 `영끌` 2030의 그늘… 1인당 연소득 3배 빚졌다
- 美 포드·中 CATL 합작공장 중단… K-배터리에 `불똥` 우려
- "매출 25조 넘긴다"… AI에 올인한 SK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