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비영리기관 전동화 평가 “현대차·기아, 기술 우수한데 비전 부족”

백소용 2023. 5. 31. 18: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전동화 전환 기술은 우수하나 전략적 비전은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국의 비영리 연구기관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는 31일(현지시간) 세계 20대 자동차 제조사(그룹)의 전기차 전환을 평가한 보고서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전동화 전환 기술은 우수하나 전략적 비전은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국의 비영리 연구기관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는 31일(현지시간) 세계 20대 자동차 제조사(그룹)의 전기차 전환을 평가한 보고서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기관은 과거 독일 자동차 제조사들이 승용차 배출가스를 조작한 이른바 ‘디젤게이트’를 폭로한 곳이다. 

보고서는 각 기업의 시장 내 위치, 기술 성과, 전략적 비전 등 3개 부문의 10개 지표를 기준으로 전동화 전환 수준을 평가했다. 종합 순위에서 현대차·기아는 20개 그룹 중 13위를 차지했다. 

테슬라(83점)와 BYD(73점)는 각각 1·2위로 ‘선도자’ 그룹에 들었다.

이어 BMW(56점), 폭스바겐(53점), 스텔란티스(50점), 지리자동차(48점), 르노(47점), 메르세데스-벤츠(45점), 제너럴모터스(GM, 45점), 상하이자동차(44점), 창청자동차(38점), 포드(38점), 현대차·기아(38점), 창안자동차(36점) 등 12곳이 ‘전환자‘ 그룹으로 분류됐다.

‘후발자’ 그룹은 도요타(30점), 혼다(28점), 닛산(27점), 타타(27점), 마쓰다(10점), 스즈키(0점) 등 대부분 일본 완성차 업체가 들어갔다. 

현대차·기아는 기술 성능 부문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충전 속도 항목에서 100점 만점에 75점을 받아 테슬라(100점)에 이어 2위에 올랐고, 주행 가능 거리 평가에서도 최고 수준(73점)으로 평가됐다. 배터리 재활용·용도 변경 지표는 만점을 받았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구매 항목과 전기차 판매 목표 등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양즈페이 ICCT 프로젝트 매니저 겸 승용차 프로그램 책임자는 “현대차·기아는 전기차 전환에서 다른 주요 글로벌 업체들을 따라잡을 기회와 충분한 잠재력이 있다”면서도 “전기차 시장 리더가 되려면 보다 강력한 비전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 제조 공정에서 탈탄소화를 이루기 위해 더 많은 재생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