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충남에 탄소나노튜브 4공장 착공

정유정 기자(utoori@mk.co.kr) 2023. 5. 31. 17: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소재·반도체 공정용
완공땐 생산능력 세계 최대

LG화학이 배터리, 반도체 공정용 소재인 탄소나노튜브(CNT) 4공장을 착공했다. 배터리 소재를 중심으로 급성장하는 CNT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31일 LG화학은 2025년 가동을 목표로 충남 대산에 CNT 4공장을 착공했다고 밝혔다. 이 공장이 완공되면 LG화학의 CNT 생산능력은 총 6100t으로 확대된다. LG화학은 전남 여수에 증설한 CNT 3공장(1200t 규모)도 최근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3공장 증설로 LG화학은 기존 1700t과 합쳐 2900t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됐다.

CNT는 전기 전도율이 구리, 열 전도율은 다이아몬드와 동일하고 강도는 철강의 100배에 달하는 차세대 소재다.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공정용 트레이, 자동차 정전도장 외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LG화학은 CNT 공장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켜 생산설비당 연간 최대 600t까지 양산할 수 있다. 이는 단일 라인 기준으로 세계 최대 규모다. LG화학 측은 독자 기술 기반의 코발트계 촉매를 사용해 자성이물 함량을 낮춰 높은 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고 밝혔다. LG화학 CNT는 LG에너지솔루션 등 배터리 업체에 양극 도전재 용도로 공급될 예정이다. 양극 도전재는 전기·전자 흐름을 돕는 소재로 리튬이온배터리의 첨가제로 쓰인다.

CNT를 양극 도전재로 사용하면 기존에 도전재로 쓰이던 카본블랙보다 약 10% 이상 높은 전도도를 구현해 도전재 사용량을 약 30%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양극재를 더 채워 배터리 용량·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용 CNT는 2030년 3조원 규모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적인 글로벌 CNT 수요는 지난해 1만4000t 규모에서 2030년 9만5000t 규모로 연평균 약 30% 수준 성장세가 예상된다. LG화학은 CNT 시장 성장세를 고려해 추가적인 증설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유정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