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80%대로 올라선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박일한의 住土피아]

2023. 5. 31. 17: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5월 마지막 경매가 열린 31일 오전 서울남부지법 경매4계.

31일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5월 법원 경매시장에서 서울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 81.1%로 전월(76.5%) 보다 5.6포인트(p) 상승하며 80%를 넘어섰다.

예를들어 지난 30일 서울중앙지법에서 경매를 진행한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 아파트 69㎡는 한 차례 유찰된 후 응찰자가 6명이나 몰려 낙찰가율이 91%까지 올라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월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81.1%
한차례 유찰 물건에 대한 관심 커져
평균 응찰자수도 7.83명으로 증가세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 5월 마지막 경매가 열린 31일 오전 서울남부지법 경매4계. 강서구 등촌동 등촌3단지 주공 아파트 58㎡(이하 전용면적)가 경매에 나와 6억9558만원에 낙찰됐다. 감정가(8억6800만원)의 80% 금액이다. 한차례 유찰된 후 경매 최저가가 6억9440만원으로 낮아지자 응찰자가 생기면서 곧바로 새 주인을 찾았다. 이날 이 법원에선 영등포구 문래동 문래힐스테이트 119㎡도 감정가(17억원)의 80%인 13억6100만원에 낙찰됐다. 역시 한차례 유찰된 후 경매 최저가가 20% 내려가자 응찰자가 생겨 매매가 성사됐다.

경매시장에서 서울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5개월 만에 다시 80%대로 올라섰다.

31일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5월 법원 경매시장에서 서울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 81.1%로 전월(76.5%) 보다 5.6포인트(p) 상승하며 80%를 넘어섰다.

경매시장에서 서울 아파트는 응찰자가 없어 유찰되면 경매할 수 있는 최저가가 20%씩 내려간다. 한차례 유찰되면 감정가의 80%, 두 차례는 64% 등으로 경매 최저가가 떨어져 다시 경매를 진행한다.

이달 4일 서울 마포구 용강동 및 공덕동 아파트 밀집지역. 임세준 기자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76.5%를 기록하면서 70%대로 내려갔다. 이후 4월까지 5개월 연속 70%대를 이어갔다. 경매 참여자들이 평균적으로 감정가 대비 최소 두 번 이상 낙찰된 물건에만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다.

반면 5월부터 강남 아파트 경매 건을 중심으로 분위기가 달라졌다. 한 차례만 유찰된 물건에도 응찰자들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예를들어 지난 30일 서울중앙지법에서 경매를 진행한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 아파트 69㎡는 한 차례 유찰된 후 응찰자가 6명이나 몰려 낙찰가율이 91%까지 올라갔다. 감정가(26억원)의 80%인 20억800만원을 최저가로 경매를 진행했는데,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낙찰가가 23억7273만원까지 올라갔다.

심지어 두 차례 유찰된 물건에 사람들이 대거 몰리면서 낙찰가율이 80% 위까지 치솟는 경우도 있었다.

지난 23일 서울중앙지법에서 경매가 진행된 종로구 창신동 두산 아파트 85㎡ 경매의 경우 두 차례 유찰되면서 경매 최저가가 감정가(11억1000만원)의 64%인 7억1040만원까지 떨어졌다. 그런데 이날 세 번째 경매는 분위기가 달랐다. 응찰자들은 충분히 싸다고 느꼈는데 20명이나 몰렸고, 낙찰가는 9억5111만원까지 상승했다. 낙찰가율은 86%였다.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은 4월부터 응찰자들이 몰리기 시작했다. 연초 경매 건당 응찰자수는 4~5명 수준이었으나 4월 7.88명, 5월 7.83명 등으로 크게 늘어났다.

낙찰률(경매건수 대비 낙찰건수 비율)도 올랐다. 5월 서울 아파트 낙찰률은 24.8%로 전월(19%) 대비 5.8%포인트 상승했다. 1월(55%)이나 2월(44%)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입찰하진 않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이 80% 위로 올라섰다는 건 평균적으로 한 차례 유찰된 물건에도 응찰자들이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의미”라면서 “다만 주로 강남에 있는 아파트가 높게 낙찰되면서 평균 낙찰가율을 끌어올린 측면이 있는 만큼 이런 추세가 얼마나 계속 이어질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jumpcut@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