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육 포기" 초등학교 선생님의 한탄…"참교사는 단명"

2023. 5. 31. 17: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교사들의 교직 만족도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온 가운데, 더는 아이들을 훈육하지 않겠다는 한 교사의 사연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오! 클릭> 세 번째 검색어는 '훈육 포기한 초등학교 교사의 한탄'입니다.

훈육한답시고 목소리 높이거나 반성문을 쓰게 했다가는 정서적 아동학대로 고소당하고, 자칫 교사도 잘려 삶만 피폐해질 뿐이라고 적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사들의 교직 만족도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온 가운데, 더는 아이들을 훈육하지 않겠다는 한 교사의 사연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오! 클릭> 세 번째 검색어는 '훈육 포기한 초등학교 교사의 한탄'입니다.

자신을 초등학교 교사라고 소개한 글쓴이가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남긴 글입니다.

글쓴이는 애가 다른 애를 괴롭히며 욕을 하든, 책상을 뒤집으며 난동을 부리든, 싫은 소리 안 하고 웃는 얼굴로 '하지 말자~' 한마디만 하고 끝낸다고 말했는데요.


훈육한답시고 목소리 높이거나 반성문을 쓰게 했다가는 정서적 아동학대로 고소당하고, 자칫 교사도 잘려 삶만 피폐해질 뿐이라고 적었습니다.

끝으로 '참교사는 단명한다'는 말을 곱씹으며 살아간다며, 학생인권조례 등 교권을 박살 내고 훈육할 권리조차 박탈당했는데 뭘 바라는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는데요.


글을 본 누리꾼들은 "교권 보호를 못 받으니 저게 최선일지도" "교사도 직장인일 뿐" "사명감을 요구하는 것부터가 요즘 시대에 안 맞아"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화면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