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발사, 건물안 지하로” 짧고 명확한 J-얼러트…대피소 안내는 부실
도쿄=이상훈 특파원 2023. 5. 31. 17: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쏜 지난달 31일 오전 6시 30분 경 일본 NHK 등은 전국에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전국순시경보시스템(J-얼러트) 속보를 내보냈다.
일본 정부는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해 자국 영공을 지나가거나 영해,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떨어질 것으로 예상될 때 J-얼러트을 발령한다.
다만 J-얼러트는 일본 전국에 동시에 전달되는 경보 시스템이어서 어떤 대피소로 가야 하는지에 대한 세부 안내까지는 하지 않는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쏜 지난달 31일 오전 6시 30분 경 일본 NHK 등은 전국에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전국순시경보시스템(J-얼러트) 속보를 내보냈다. 낙하 예상 지역으로 추정된 오키나와현 주민에게는 일본 소방청이 스마트폰으로 긴급 문자 메시지를 전송했다. 미사일 낙하 가능성이 사라지자 오전 7시 4분 쯤 J-얼러트는 해제됐다.
일본 정부는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해 자국 영공을 지나가거나 영해,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떨어질 것으로 예상될 때 J-얼러트을 발령한다. 이날 일본 당국이 국민들에게 발송한 경보 메시지에는 간명하면서도 핵심적인 정보가 담겨있다. ‘미사일 발사’라는 문구를 2차례 반복한 뒤 ‘북한으로부터 미사일이 발사된 것으로 보인다. 건물 안 또는 지하로 대피해 달라’고 명기했다.
이날 서울시가 시민들에게 보낸 재난문자에는 ‘서울지역 경계경보 발령. 대피 준비를 하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하라’고만 돼있을 뿐 경보 이유와 대피 장소 등에 관한 정보가 없었던 것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다만 J-얼러트는 일본 전국에 동시에 전달되는 경보 시스템이어서 어떤 대피소로 가야 하는지에 대한 세부 안내까지는 하지 않는다. 한국은 포털사이트에서 ‘대피소’라는 검색어만 입력하면 정부 국민재난안전포털로 연결돼 도로명 및 행정동 주소에 근거해 인근 대피소를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일본은 이런 정보를 신속히 찾아보기 어렵다. 평소 대피소를 숙지하거나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일일이 찾아봐야 한다. 일본 정부에 따르면 유사시 대피가능 시설은 9만4125 곳이지만, 이 중 방어 효과가 큰 지하시설은 1591곳 정도다.
대신 일본에는 지진 대비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다. 2018년 9월 홋카이도에서 규모 6.6의 강진이 발생했을 때 NHK 라디오는 정규방송을 중단하고 “○○마을은 ○○초등학교”라는 대피소 안내방송을 수 시간 반복했다. 라디오만 듣고 있으면 지진 등 재해 시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지진 등 재해가 발생하면 정전으로 TV나 인터넷 연결이 안 될 수 있어 라디오가 주된 정보 전달 수단이다. 지진이 잦은 일본에서는 비상식량, 식수, 안전모 등과 함께 휴대용 라디오가 재난키트 필수품이다.
일본 정부는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해 자국 영공을 지나가거나 영해,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떨어질 것으로 예상될 때 J-얼러트을 발령한다. 이날 일본 당국이 국민들에게 발송한 경보 메시지에는 간명하면서도 핵심적인 정보가 담겨있다. ‘미사일 발사’라는 문구를 2차례 반복한 뒤 ‘북한으로부터 미사일이 발사된 것으로 보인다. 건물 안 또는 지하로 대피해 달라’고 명기했다.
이날 서울시가 시민들에게 보낸 재난문자에는 ‘서울지역 경계경보 발령. 대피 준비를 하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하라’고만 돼있을 뿐 경보 이유와 대피 장소 등에 관한 정보가 없었던 것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다만 J-얼러트는 일본 전국에 동시에 전달되는 경보 시스템이어서 어떤 대피소로 가야 하는지에 대한 세부 안내까지는 하지 않는다. 한국은 포털사이트에서 ‘대피소’라는 검색어만 입력하면 정부 국민재난안전포털로 연결돼 도로명 및 행정동 주소에 근거해 인근 대피소를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일본은 이런 정보를 신속히 찾아보기 어렵다. 평소 대피소를 숙지하거나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일일이 찾아봐야 한다. 일본 정부에 따르면 유사시 대피가능 시설은 9만4125 곳이지만, 이 중 방어 효과가 큰 지하시설은 1591곳 정도다.
대신 일본에는 지진 대비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다. 2018년 9월 홋카이도에서 규모 6.6의 강진이 발생했을 때 NHK 라디오는 정규방송을 중단하고 “○○마을은 ○○초등학교”라는 대피소 안내방송을 수 시간 반복했다. 라디오만 듣고 있으면 지진 등 재해 시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지진 등 재해가 발생하면 정전으로 TV나 인터넷 연결이 안 될 수 있어 라디오가 주된 정보 전달 수단이다. 지진이 잦은 일본에서는 비상식량, 식수, 안전모 등과 함께 휴대용 라디오가 재난키트 필수품이다.
도쿄=이상훈 특파원 sanghu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이유도 없이 대피? 도대체 어디로?…日과 비교되는 ‘경보문자’
- 부산서 또래 죽인 20대, ‘시신 없는 살인’ 검색…계획범죄 가능성
- 軍 “北 우주발사체 추정 물체 서해서 인양”
- 김의겸 “한동훈, 뿔테안경 쓴 깡패”…장예찬 “金, 그냥 안경 쓴 양아치”
- 60세 이전에 당뇨 발병, 치매 위험 3배나 높았다
- 與 “업비트 측, 김남국, 자금세탁 의심 비정상거래 의견”
- 결혼 3주 만에 20살 연상 남편 살해한 20대, 구치소서 또 폭행
- 팬티 차림 男, 차 앞으로 ‘성큼성큼’…여성 운전자 새벽의 공포
- 우울증, 10년 새 2배 가까이 늘어…“수면 5시간 미만이면 4배 위험”
- 민주노총, 전국 대규모 집회…경찰 “캡사이신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