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 간 생체 환경 구현한 인공 장기칩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희대(총장 한균태)가 간 질환을 관측하는 인공 장기칩을 개발했다.
31일 경희대에 따르면 허윤정 경희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박민 한림대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간의 저산소 환경을 본뜬 인공 장기칩을 개발했다.
논문 제1저자 한유나 경희대 기계공학과 학술연구교수 등 연구진은 인공 장기칩에 간세포와 산소의 배양층을 적층으로 쌓아 저산소 환경을 유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희대(총장 한균태)가 간 질환을 관측하는 인공 장기칩을 개발했다.
31일 경희대에 따르면 허윤정 경희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박민 한림대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간의 저산소 환경을 본뜬 인공 장기칩을 개발했다.
인공 장기칩은 마이크로 기술과 생체 공학 기술을 융합해 인체 장기를 작은 칩 형태로 구현한 기술로, 작은 공간에서 장기 구조와 기능을 재현하는 데 활용된다.
각종 간 질환이 발병하면 간에 저산소 환경이 구현되기 때문에 간 기능 변화를 측정하기에 적합했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는 저산소 환경을 유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다. 논문 제1저자 한유나 경희대 기계공학과 학술연구교수 등 연구진은 인공 장기칩에 간세포와 산소의 배양층을 적층으로 쌓아 저산소 환경을 유도했다. 그 결과 10분 이내 산소 농도 5% 이하 저산소 환경을 유도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인공 장기칩 환경 변화를 관측할 수 있는 전기화학 바이오센서도 제작했다.
주요 바이오마커(생체 지표)로 알부민(Albumin)을 지정, 센서를 통해 인공 장기칩 내 변화 양상을 살핀 결과, 저산소 환경 조성 전 왕성히 분비되던 알부민이 저산소 환경이 조성되자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연구는 인공 장기 칩과 적층 바이오 센싱 시스템의 효과성을 입증했다.
한유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연구자가 정한 목표를 끝까지 이뤄냈다는 증표”라며 “연구팀은 간 외에도 췌장, 근육, 지방 등 4개 인공 장기칩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용인=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알뜰폰보다 저렴한 청년요금…이통3사 2030세대 잡기 맞불
- 중고·리셀 거래도 국세청이 들여다본다…당근마켓 번개장터 “사업 위축 우려”
- “아이오닉6 1.5개월·카니발 즉시” 현대차·기아 출고시계 빨라졌다
- 4년만에 스웨덴서 나타난 흰돌고래…정체는 전직 러시아 스파이?
- [뉴스줌인] 北 정찰위성 발사…韓美日 압박 전선 펼친다
- 체첸 카디로프 “푸틴, 바그너 용병 철수한 도네츠크에 군대 배치 명령”
- 北 정찰위성 발사 실패…정부, NSC 열고 강력규탄
- K라면, 비관세장벽 뚫고 진격...수출 확대 전략 가동
- 사용후핵연료 전문가 “韓 사용후핵연료 관리·처분 기술 충분…고준위 특별법 통과돼야”
- 화상으로 환자·보호자 만난다…분당서울대병원 ‘비대면회진’ 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