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 late to reverse the trend (KOR)

2023. 5. 31. 09: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사람은 '출산 파업' 중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8명이다.

올해 1~3월 합계출산율이 0.81명으로 반등했지만 같은 기간만 놓고 보면 역시 최저다.

올해 합계출산율은 지난해보다 더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For every complex problem, there’s a solution that is simple, neat and wrong.'

CHO HYUN-SOOKThe author is a business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Koreans are on a “birth strike.” The total fertility rate announced by Statistics Korea was 0.78 last year. It refers to the number of children a woman will have in her lifetime. If so, 20 men and women would have 7 to 8 children in the next generation. It is a record only set by Korea in the world.

The worst is yet to come. The total fertility rate bounced up to 0.81 between January and March this year, but it is also the lowest in the world for the same period. Culturally, Koreans prefer having children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rather than at the end of the year. This year’s total fertility rate is likely to fall further than last year. It’s not simply a decline but a disaster for the population.

It is already too late to reverse the trend. When looking at the statistics, the women of childbearing age are between 15 and 49. Based on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 statistics in April this year, the number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is 11.27 million.

But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s “future population estimate,” the 10 million mark will be reached within 10 years, falling to 8.5 million in 2040 and 5.35 million in 2060.

Even if the current birth rate is maintained, the number of newborns would be half as many, as the number of mothers would be half of the number there are today. If the birthrate falls further, the number of newborns will decrease more steeply.

On May 28, international credit rating agency Moody’s pointed to the population problem as the biggest risk to Korea’s economic growt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ill start a pilot project for “foreign housekeepers” as early as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 caregiver and domestic help employment that had only been possible for Koreans, ethnic Koreans from China and foreigners married to Koreans will soon be open to foreign nationals.

It means that we will see caregivers from the Philippines and housekeepers from Vietnam in the near future. The ministry held a forum on May 25, and as expected, there were more concerns than anticipation. Adverse effects such as taking jobs away from Koreans, treatment and wage, and human rights infringements were discussed. There is no plan to prevent these problems.

It is also worrisome that the fertility rate and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have not improved noticeably in Hong Kong and Singapore, which have long allowed foreign housekeepers. There is only a half-baked policy to help raise our low birthrate by avoiding directly tackling the immigration policy.

It is like a student who does not pay attention throughout a test and knowingly writes wrong answers when the bell rings. We need to ruminate over what American literary critic Henry Louis Mencken said: “For every complex problem, there’s a solution that is simple, neat and wrong.”

출산 파업과 외국인 가사근로자조현숙 경제부 기자

한국 사람은 ‘출산 파업’ 중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8명이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아이 수를 말하는데, 남녀 20명이 다음 세대엔 7~8명이 된다는 의미다. 전 세계를 통틀어 한국만이 세운 대기록이다. 아직 최악은 오지 않았다. 올해 1~3월 합계출산율이 0.81명으로 반등했지만 같은 기간만 놓고 보면 역시 최저다. 연말보다 연초에 아이를 낳길 선호하는 문화 탓이다. 올해 합계출산율은 지난해보다 더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 인구 감소를 넘어 인구 재앙이다.

되돌리기엔 이미 너무 늦었다. 통계를 낼 때 가임 여성은 15세에서 49세 사이로 본다. 올해 4월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1127만 명 정도다. 그런데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10년 안에 1000만 명 선이 깨지고 2040년 850만 명, 2060년 535만 명으로 내려앉는다. 지금 출산율을 유지하더라도 엄마 수가 반 토막이라 태어나는 아이 수도 지금의 절반이다. 출산율이 더 떨어진다면 말할 것도 없다.

지난 28일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한국 경제 성장을 가로막을 최대 위험으로 인구 문제를 지목한 이유다. 고용노동부가 이르면 올해 하반기 ‘외국인 가사근로자’ 시범사업을 시작한다. 한국인과 중국 교포(조선족), 한국인과 결혼한 외국인만 가능했던 돌봄·가사 취업 문호가 크게 열린다. 필리핀에서 온 돌봄 선생님, 베트남 국적의 가사관리사를 곧 볼 수 있다는 의미다. 고용부는 25일 관련 토론회를 열었는데 역시나 기대보다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내국인 일자리 잠식, 처우와 임금 문제, 인권 침해 등 부작용이 예상됐다. 이를 예방할 대책은 아직 공란이다.

오랜 기간 외국인 가사근로자를 허용한 홍콩·싱가포르에서 출산율이나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눈에 띄게 나아지지 않았다는 점도 걱정을 키운다. 이민정책 대수술이란 정공법은 피한 채 저출생 대책 ‘포장’만 씌운 설익은 정책 티가 풀풀 난다.

시험 시간 내내 딴짓을 하다 종이 울리니 오답인 줄 알면서도 급하게 써내는 수험생이나 다를 게 없다. 미국 문학평론가 헨리 루이스 멩켄이 한 말을 되새겨볼 때다. “모든 문제엔 쉬운 해결책이 있다. 단순하고 그럴듯하지만 잘못된.”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