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피하라”→“오발령”→“경위 파악”…서울시·행안부, 물의 일으키고 네탓 공방

최아영 매경닷컴 기자(cay@mk.co.kr) 2023. 5. 31. 09: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경계경보 22분만에 “오발령”
시 “행안부 요청 있었는지 파악중”
네이버 한때 접속 장애로 시민 불안↑
31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 TV에 뉴스속보가 나오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시가 31일 시민들에게 위급 재난 문자를 잘못 발송하면서 이른 아침부터 시민들이 불안에 휩싸였다. 이어 행정안전부는 서울시 문자에 대해 오발령 사항이라는 문자를 보내 혼란이 가중됐다. 서울시와 행안부는 이날 오발령 문자를 두고 입장차를 드러내기도 했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6시 41분 “오늘 6시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라는 위급재난문자를 시민들에게 발송했다.

하지만 행정안전부는 22분 뒤인 오전 7시3분 “오전 6시41분 서울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림”이라는 문자를 보냈다.

서울시는 이어 오전 7시25분 “서울시 전지역 경계경보 해제되었음을 알린다. 시민 여러분께서는 일상으로 복귀하시길 바란다”는 안내 문자를 보내 시민들이 다시 어리둥절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현재 정확한 경위 파악에 나섰다. 시는 “행안부의 요청이 있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서 비상계획관실을 통한 경보 문자 발송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후 “행정안전부의 북한 발사체 관련 통보를 받고 이를 발송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이날 오전 연이은 사이렌 경보와 위급 재난 문자에 놀란 시민들은 뉴스를 확인하기 위해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로 몰렸지만 접속 장애가 발생하면서 불안감이 커졌다. 당황한 시민들은 어떤 이유로 대피해야 하고,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등을 알지 못해 큰 혼란을 겪었다.

시민들은 오발령 문자에 대해 황당하다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반면 조금이라도 위급 상황의 조짐이 보이면 재난문자를 발송해야 한다는 의견도 맞섰다.

누리꾼들은 “무슨 내용인지도 모른채 어디로 어떻게 대피하라는 건지 몰라서 당황스러웠다”, “네이버 모바일까지 먹통돼 불안했다”, “일단 긴급한 상황을 알리는 문자부터 발송하는 게 맞다” 등 다양한 반응을 쏟아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