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주정거장 ‘톈궁’ 본격 운영…유인우주선 ‘발사’

김효신 2023. 5. 30. 23: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중국이 독자 건설한 우주 정거장 완공 후 처음으로 유인 우주선이 우주정거장을 목표로 날아갔습니다.

세 명의 우주인들이 정거장에서 다양한 과학 실험을 진행할 계획인데요.

미국 주도의 우주 개발에 중국이 도전장을 내밀고 있습니다.

베이징 김효신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3, 2, 1, 점화!"]

선저우 16호를 실은 로켓이 화염을 내뿜으며 솟아오릅니다.

숨을 죽인 채 우주 진입을 기다리는 우주인들 모습도 보입니다.

발사 10여 분 만에 선저우 16호가 무사히 궤도에 안착했습니다.

[탑승 우주인 : "선저우 16호 보고합니다. 우주선 정상이며 대기환경 정상입니다. 느낌이 좋습니다."]

선저우 16호에 탑승한 우주인은 모두 3명.

베이징항공우주대학 교수도 중국 민간인으론 처음으로 우주선에 탑승했습니다.

이들은 오늘 오후 중국이 지난해 말 독자 건설한 우주정거장 '톈궁'에 도착했고 6개월 동안 일반 상대성 이론 등 과학 실험을 할 예정입니다.

중국은 '톈궁'을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완공 후 처음으로 우주인들을 보냈습니다.

[이춘근/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명예연구위원 : "자체개발한 우주 정거장을 건설해서 국민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국제 협력을 주도하고, 장기적으로 군사적인 목적으로도 활용한다고 생각합니다."]

톈궁은 아직 미국 주도로 운영되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의 절반 길이에 불과합니다.

미국 CNN은 "선저우 16호 발사는 중국의 야심찬 우주계획이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을 의미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은 유인우주선 기술을 발판삼아 오는 2030년까지 중국인의 달착륙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중국은 이번 우주선 발사 전 과정을 중계하며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우주 과학 기술을 선도해 미국의 공세에 맞서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웅/그래픽:서수민/자료조사:조영은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효신 기자 (shiny33@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