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오지 않는 '중국'…소비재·수출 모두 '잠잠'

김주영 2023. 5. 30. 20: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중국의 코로나19 봉쇄가 풀리면서 화장품과 면세, 항공업들이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됐는데요.

하지만 그 효과가 당초 기대에 못 미치고 있습니다.

대중 수출마저 계속 줄고 있어 이제 중국 의존도를 낮춘 새 성장 전략을 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주영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의 주요 7개국, G7 정상회의 참석 이후 중국과의 기류가 미묘해졌습니다.

미국 주도의 대중국 견제에 동참하는 구도가 만들어지면서입니다.

이후 지난 23일에는 가수 겸 배우 정용화의 중국 예능 출연이 돌연 취소됐고, 중국 내 네이버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등 한국 콘텐츠 배제 움직임도 일고 있습니다.

실제로 중국 수혜가 기대되던 화장품, 면세, 항공 등 주요 업종들은 지난 23일 이후 주가가 전반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화장품 주는 26일 종가가 23일 종가 대비 4% 안팎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2016년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 조치인 '한한령' 때와는 결이 좀 다릅니다.

미중 패권 다툼에 따른 한국 배제 분위기와 함께, 중국의 산업 구조가 내수를 키워 자립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바뀌면서 대중국 교역에서 적자까지 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강인수 /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 "중국하고 한국의 산업구조의 보완성이 좀 줄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예전과 같은 중국시장에 대한 수출 의존도는 좀 줄어들 가능성이 많아 보입니다."

중국은 우리나라의 무역 최대 흑자국이었지만, 최근 대중국 수출은 11개월째 내리막을 걷고 있습니다.

미중 간 힘겨루기가 갈수록 첨예해지면서 우리나라가 수출 다변화 전략을 통해 다른 선택지를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

#미중갈등 #한한령 #사드보복 #대중국수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