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강릉] 동해항 컨테이너 정기항로 다시 개설? 물동량 확보 관건

정상빈 2023. 5. 30. 19:3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춘천] [앵커]

이어서 강릉입니다.

컨테이너 화물선이 이르면 다음 달(6월) 말부터 정기적으로 동해항을 오갈 예정입니다.

강원도와 동해시는 컨테이너선이 안정적으로 운항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입장인데, 물동량 확보가 과제입니다.

정상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강원도 내 유일한 국가관리무역항 동해항입니다.

연간 화물 3천만 톤을 처리하는데 90% 이상이 시멘트와 유연탄 등 포장하지 않고 선적하는 이른바 '벌크 화물'입니다.

동해시는 동해항과 항만 주변 활성화를 위해 컨테이너선 항로 개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부산항과 동해항,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오가는 700TEU급 컨테이너선이 이르면 다음 달(6월) 말 취항 예정입니다.

주 한 차례씩 중고 자동차와 우드팰릿 등을 실은 컨테이너선이 동해항을 오가게 됩니다.

[박종을/동해시 미래전략담당관 : "초창기에는 150TEU에서 200TEU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일단 러시아, 중앙아시아 쪽에서 필요로 하는…."]

문제는 얼마나 안정적으로 항로가 유지될 수 있는가입니다.

과거에도 동해항을 오간 컨테이너선이 안정적으로 물동량을 확보하지 못하며 항로 운영에 어려움이 이어졌습니다.

동해항의 마지막 컨테이너선 국제 정기항로는 지난 2015년부터 1년 2개월 동안 운영됐습니다.

강원도와 동해시는 최근 전쟁 영향으로 활발해진 동해항을 활용한 대 러시아 교역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또, 컨테이너 하역 크레인이 추가되는 등 항만 인프라도 개선됐다며, 물동량 확보 문제는 충분히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고석민/강원도환동해본부 해양항만과장 : "물동량이 어느 정도가 충분히 확보돼 있느냐가 제일 관건이었는데, 이 문제는 동해시나 강원도 모두가 (지원할 계획입니다.)"]

그럼에도 아직은 선사에 대한 운항장려금 없이는 항로 유지가 어려운 상황.

동해항을 컨테이너 복합 항만으로 만들어 활성화를 이루겠다는 강원도와 동해시의 구상이 기대한 만큼 현실로 나타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강원도 이·통장 한마음대회’ 동해서 열려

'강원도 이·통장 한마음대회'가 오늘(30일)과 내일(31일), 이틀간 동해웰빙레포츠타운 종합운동장에서 열립니다.

이 자리에는 강원도지사와 18개 시군 이장, 통장 등 4천여 명이 모여, 지역 화합과 강원특별자치도의 성공을 기원합니다.

또,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강원 동해안 산불 피해 복구 등에 기여한 지역 이장과 통장들의 노고를 위로하는 행사도 열립니다.

동해안 군용 비행장 소음 피해 보상금 규모 확정

강원 동해안지역 군용 비행장 소음 피해 관련 보상금의 지급 규모가 확정됐습니다.

강릉시는 군용 비행장 소음으로 피해를 입은 주민 4만 981명을 대상으로 월 3만 원에서 6만 원씩 전체 보상금 106억 6,400만 원을 지급합니다.

양양군도 군용 비행장 주변 주민 54명에게 전체 보상금 2,054만 원을 지급합니다.

속초시, 가로수 병해충 나무주사 방제 실시

속초시는 다음 달(6월) 한 달 동안 가로수 생육에 피해를 주는 '미국흰불나방'에 대한 선제적 방제를 진행합니다.

이번 작업은 설악산로와 동해대로 등 주요 도로의 가로수 2천여 그루를 대상으로 나무 주사를 놓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미국흰불나방은 해마다 9월을 전후해 애벌레 상태로 가로수 잎을 갉아먹고 시민들에게 혐오감을 주는 등 불편 민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태백시, 민선 8기 태백시 발전 계획 수립

태백시가 민선 8기를 맞아 재도약을 위한 시 발전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도심인 황지‧삼수‧상장권역은 체류형 관광을 활성화하고, 풍력발전단지와 법무부 교정시설 건립, 도시재생사업 등을 통해 경제 활성화를 추진합니다.

또, 문곡소도‧장성권역은 스포츠와 헬스케어, 폐광 대체산업에 집중하고, 통리·철암·동점권역은 티타늄 광산 개발과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희귀광물 첨단 산업을 육성하기로 했습니다.

태백시는 이를 위해 2026년까지 3개 권역 57개 사업에 1조 5,709억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강릉이었습니다.

정상빈 기자 (normalbean@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