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은 소년 같던 선배님 삶에서 진짜 아름다움 봤죠”

한겨레 2023. 5. 30. 19: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일남 선배님.

선배님은 제가 일흔네 해를 살아오면서 만났던 숱한 사람들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이었습니다.

하지만 선배님, 저는 그저 몇 가지 소소한 에피소드만 얘기하려 하니 부디 용서해주십시오.

선배님께서 아직 건강하실 적이니 3년 전쯤이었을 겁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신이의 발자취][가신이의 발자취] 고 최일남 작가를 기리며
고 최일남 작가 빈소. 권성우 숙명여대 교수 제공

최일남 선배님. 지난해 5월이었으니 꼭 1년 전 이맘때였지요. 오랜만에 문안인사를 드리려 댁에 전화를 걸었더니 웬 아주머니가 받더군요. 선생님께서 전화를 받기 어려우시다 하기에 사모님을 바꿔달라고 했지요. 그랬더니 도우미 아주머니라는 분이 말하기를 사모님은 이미 한 달여 전에 돌아가셨는데 모르셨느냐는 겁니다. 저는 그만 털썩 자리에 주저앉고 말았지요. 아무리 코로나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던 때였다지만 문상은커녕 돌아가신 것조차 한 달 넘게 모르고 있었다니! 그때의 황망함과 죄송스러움이 아직 생생하거늘 이렇게 다시 선배님의 부음을 대하니 진즉에 제가 꼭 드리고 싶었던 말이 떠오르는군요.

무슨 말이냐고요? 이제는 들으셔도 핀잔을 하지 않으실 테니 말씀드리지요. 선배님은 제가 일흔네 해를 살아오면서 만났던 숱한 사람들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이었습니다. 아마 저의 남은 생에서도 선배님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을 만날 수는 없을 겁니다. 제가 그동안 접할 수 있었던 권력자와 정치인, 돈 많은 이들과 학식 높은 이들 중 그 어느 누구도 선배님처럼 아름답지는 않았습니다.

허허, 쓸데없는 소리! 역시 선배님은 핀잔하시는군요. 하지만 선배님, 저는 그저 몇 가지 소소한 에피소드만 얘기하려 하니 부디 용서해주십시오.

1980년 8월 강제해직 당한 뒤
40여 년 세월 조금도 변함없어
70여 년 숱한 사람 만났지만
선배님은 가장 아름다운 사람
바라봄으로써 정화되는 듯하고
함께해 위로받는 영혼이었죠

선배님께서 아직 건강하실 적이니 3년 전쯤이었을 겁니다. 서울 인사동에서 몇몇이 점심을 곁들여 막걸리 한두 사발씩 하고 돌아가던 길이었지요. 저는 선배님과 같은 성남 분당에 살고 있었기에 함께 지하철을 탔는데 경로석에는 자리가 없었던 반면 가운데 자리는 비어 있었지요. 하지만 선배님은 빈자리로 가시지 않았습니다. 지하철 공짜로 타는데 돈 내고 타는 젊은이들 자리를 뺏을 수는 없다는 말씀이었지요. 2000년대 초반 선배님은 한 언론 관련기관에서 비상근이사로 일하신 적이 있었습니다. 마침 그 기관 간부에 제 친구가 있었지요. 그 친구가 그러더군요. 최 선생님은 회의가 끝난 후 댁까지 승용차로 모시겠다고 해도 지하철 타고 가면 된다며 끝끝내 사양하셨다고요.

저보다 십칠 년이나 연상이신 선배님의 삶의 발자취를 새까만 후배인 제가 어찌 감히 더듬어볼 수 있겠습니까. 다만 한 가지는 자신 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1980년 8월, 그 끔찍했던 여름날 선배님과 저를 비롯한 여러 동료들이 한날한시에 강제해직을 당했지요. 그로부터 40여년 세월이 흘렀습니다. 그 오랜 세월 동안 선배님은 참으로 놀랍게도 조금도 변하지 않으신 어른이었습니다. 외람되지만 저는 선배님이 항상 ‘맑은 소년’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바라봄으로써 정화되는 듯한, 함께함으로써 위로받는 깨끗한 영혼.

선배님은 1953년부터 2013년까지 60년 동안 158편의 중단편과 6편의 장편소설을 써내셨습니다. “고생을 타고난 사람은 육실하게도 고생만 지지리 하다가, 고생에서 헤어나서 이제는 조금 마음을 놓고 밥술이라도 뜨겠다 싶으면 꼴까닥하고 만다”(단편소설 ‘타령’ 중에서)는 유의 푸짐한 입담으로 시대의 아픔을 버무려낸 당대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이었습니다.

지난 늦겨울 어느 날, 선배님은 제게 모처럼 또박또박 말씀하셨지요. “날 풀리면 내가 밥 한번 살게.” 반세기 넘도록 해로한 사모님 먼저 보내시고도 가끔 아내가 살아 계시다고 믿었다던 선배님. 그 사연을 어렴풋이나마 알고 있었던 저는 선배님의 전화를 받으며 왈칵 눈물을 쏟았습니다. 선배님은 이제 저 세상에서 사모님을 다시 만나시겠지요. 그리고 이러시겠군요. “여보, 나 빨리 따라왔지?”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던 사람, 최일남 선배님. 부디 안식하십시오.

전진우 언론인·작가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