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먼 인천 소각장 제 자리... 서울·경기는 '속전속결'

김지혜 기자 2023. 5. 30. 18:53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동구와 옹진군 외 나머지 군·구 설치 논의·주민 반대 등 지지부진
현재상태론 ‘쓰레기 대란’ 불가피
인천 서구에 있는 수도권 매립지의 쓰레기. 경기일보DB

 

오는 2026년부터 수도권매립지의 생활 폐기물(쓰레기) 직매립 금지를 앞둔 가운데, 수도권 3개 시·도 중 갈 길이 바쁜 인천만 자원순환센터(소각장) 설치 해법 등을 찾지 못한 채 공회전 하고 있다. 지역 안팎에선 그동안 인천이 주도적으로 수도권매립지 운영 종료를 외쳐온 만큼, 지금이라도 인천시가 주도해 소각장 입지 선정 등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다음달 중·동구와 옹진군의 쓰레기를 소각할 서부권 소각장의 입지 후보지로 중구 남항 일대와 동구 북성포구 십자수로 매립지 등을 추려내고, 최종 후보지 선정을 위한 행정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계양·부평구의 동부권, 서구·강화군의 북부권, 미추홀·남동구·연수구의 남부권 등 나머지 소각장 관련한 논의는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

더욱이 군·구끼리 협의해 소각장의 입지를 정하다 보니, 4곳 모두 소각장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엔 주민들의 극심한 반대와 이에 따른 정치적 입장 차 등으로 제자리걸음이다. 지역의 한 구 관계자는 “군·구에서 회의를 할 때 어느 군·구도 소각장 입지에 환영하지 않는다”며 “인천시에서는 구의 업무라는 이유라는 입장이지만, 기초지자체가 할 수 있었으면 벌써 했을 것”이라고 했다.

수도권매립지 3-1 매립장.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 제공

이 때문에 인천시가 직접 나서 인천의 광역 소각장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상태로 소각장 문제가 답보상태를 거듭하면, 쓰레기 직매립을 못 하는 2026년 1월1일부터는 1일 발생량이 1천400여t에 이르는 인천의 쓰레기로 인한 ‘쓰레기 대란’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반면 서울은 마포 소각장의 신축을 결정하는 등 서울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소각장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서울시는 1일 평균 2천t의 쓰레기 중 1천t은 종전 강남·노원·마포·양천 소각장에서 처리하고, 나머지 1천t은 마포 소각장에서 처리할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 같은 마포 소각장 신설과 함께 인센티브로 180m 규모의 ‘서울링’을 발표하기도 했다.

경기도 역시 종전 시·군에 있는 소각장을 사용하고, 처리 용량이 부족한 시·군은 추가로 소각장을 짓겠다는 방침이다. 경기도는 소각장을 지을 땅이 인천·서울에 비해 남아있어 소각장 유치 공모 등을 통해 신규 소각장을 짓는데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박수현 한국화학안전협회 교수는 “당초 수도권매립지에 소각재만 묻도록 하는 정책은 인천 때문에 발생했는데, 정작 소각장 문제에서는 인천이 가장 뒤처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인천은 이미 소각장 정책의 논의가 늦었다. 다만 인천시가 주도해 서두르면 쓰레기 대란을 피할 수 없지만, 대란 기간은 줄일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서울과 경기가 이미 소각장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만큼, 환경부가 수도권매립지 직매립 금지를 유예해줄 리 만무”라며 “인천도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인천시의 결단이 시급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북부권 등 군·구별로 논의가 잘 이뤄지면 모르겠지만, 지지부진하다면 시가 직접 나설 수도 있다”며 “서부권 소각장도 후보지가 정해지면 인센티브 등 전향적인 주민과의 논의를 이끌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시는 현재 중구·동구·옹진군 등 서부권은 1일 300t, 서구·강화군 등 북부권은 1일 240t, 부평구·계양구 동부권은 1일 300t을 각각 처리할 수 있는 소각장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또 시는 미추홀구·연수구·남동구의 남부권은 1일 645t을 처리할 수 있는 대보수를 계획하고 있다.

김지혜 기자 kjh@kyeonggi.com
박귀빈 기자 pgb0285@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