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알파시티 '제2 판교'로 뜬다

오경묵 2023. 5. 30. 18: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의 여덟 개 투자지구 가운데 하나인 수성알파시티에 정보기술(IT)과 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ABB) 기업이 몰려들고 있다.

시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수성알파시티 입주 기업은 2019년 44개, 매출 1386억원에 불과했으나 2021년 114개, 8450억원으로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T·ABB 등 미래산업 유치 가속
3년 새 입주기업 200여개 몰려
과기부 '디지털 혁신거점'에 선정
인근 산단 제조기업과 시너지
현장맞춤 인력양성 체계도 강점
정보기술(IT)과 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ABB) 기업이 집적하면서 전국 최고의 디지털 혁신 거점으로 변신하고 있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수성의료지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제공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의 여덟 개 투자지구 가운데 하나인 수성알파시티에 정보기술(IT)과 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ABB) 기업이 몰려들고 있다.

대구시는 30일 수성알파시티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이 사업에는 전국 10개 지방자치단체가 경쟁을 벌여 대구시와 부산시가 선정됐다. 시는 연속사업으로 과기정통부와 함께 1조4000억원 규모의 디지털 연구개발(R&D) 프로젝트 예비타당성조사 사업을 준비 중이다. 최운백 시 혁신성장실장은 “기획 중인 예타사업은 고급인재 양성과 글로벌 및 플랫폼 기업 유치가 목표”라고 말했다.

시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수성알파시티 입주 기업은 2019년 44개, 매출 1386억원에 불과했으나 2021년 114개, 8450억원으로 증가했다. 입주 예정 기업을 포함하면 240개에 달한다. 또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등 디지털기업 지원기관도 11개가 몰려있다.

수성알파시티는 2008년 수성구 대흥동과 시지동 일대에 97만㎡로 조성됐다. 당초 체류형 의료관광 시범단지를 조성하기로 했으나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집중되면서 성격이 의료에서 디지털단지로 바뀌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해 홍준표 시장 취임 후 모빌리티, 로봇, 의료와 연관된 ABB 산업을 대구 5대 미래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하면서 전국 최고의 디지털 혁신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홍 시장은 “이번 혁신 거점 선정으로 수성알파시티의 전국적 경쟁력을 확인받았다”며 “과기정통부와의 협력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가대표 디지털 혁신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시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은 지구 내 의료시설용지(8만2000㎡)를 올해 말까지 지식기반시설용지로 용도 변경하고 인근에 40만~66만㎡ 규모의 제2수성알파시티 조성을 검토하고 있다.

수성알파시티가 디지털 혁신 거점으로 부상한 이유는 대구·경북 및 영남권의 폭넓은 제조기반이 정보통신기술(ICT)과 ABB 산업의 시장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수성의료지구에 연구소를 설립한 울산의 인터엑스 관계자는 “제조 인공지능(AI)은 중소기업에 활용도가 더 높은데 대구·경북에 산업단지가 많아 유리하다”고 말했다.

ICT와 ABB 기업이 몰려들면서 집적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자동차, AI 기반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 개발 기업으로 삼성, LG, 현대모비스 등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는 오큐브는 2007년 대구에서 창업해 2020년 수성의료지구로 본사를 옮겼다. 성재호 상무는 “수도권으로 본사를 이전하지 않은 것은 ABB 기업이 밀집해 있기 때문”이라며 “기업 간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 판교 못지않게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경북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등 현장 맞춤형 인력 양성 체계를 갖춘 이점도 외지 기업의 대구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판교에 본사를 둔 베이리스는 240억원을 투자해 대구에 본사와 연구시설을 건립할 방침이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