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의 화가] 고통 가득한 삶 속에서 밝은 그림만 그린 뒤피

이선아 2023. 5. 30. 17: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프랑스 예술가 라울 뒤피(1877~1953)는 '흙수저'였다.

하지만 뒤피의 그림에선 삶의 고통을 찾아보기 힘들다.

'고통을 딛고 어떻게 이런 밝은 그림을 그렸냐'는 사람들의 질문에 그는 이렇게 답했다.

1937년 파리 만국박람회를 위해 그린 가로 60m, 세로 10m의 대형 프레스코 벽화 '전기 요정'은 이런 뒤피의 경쾌한 색채를 잘 보여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

프랑스 예술가 라울 뒤피(1877~1953)는 ‘흙수저’였다. 가난한 음악가 집안의 아홉 남매 중 첫째로 태어난 그는 10대 때부터 생계를 책임져야 했다. 학교도 제대로 다니지 못한 채 커피 수입회사 종업원으로 일했다. 고통은 계속됐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은 그의 고향을 파괴했다. 손가락을 제대로 펴지 못할 정도로 심각했던 관절염은 그를 죽을 때까지 괴롭혔다.

하지만 뒤피의 그림에선 삶의 고통을 찾아보기 힘들다. 유화라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맑고 화사한 색채 덕분이다. ‘고통을 딛고 어떻게 이런 밝은 그림을 그렸냐’는 사람들의 질문에 그는 이렇게 답했다. “나의 눈은 태어날 때부터 추한 것을 지우도록 돼 있다.”

1937년 파리 만국박람회를 위해 그린 가로 60m, 세로 10m의 대형 프레스코 벽화 ‘전기 요정’은 이런 뒤피의 경쾌한 색채를 잘 보여준다. 그는 파스텔톤 물감으로 고대부터 중세, 현대까지 전기와 관련된 인물 111명을 그렸다. 문명의 발전을 이끈 전기의 역사를 아름다운 색채로 그려낸 것이다.

이 벽화를 국내에서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서울 여의도 더현대와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뒤피의 전시가 각각 열리고 있다. 두 곳에서 ‘전기 요정’의 석판화를 볼 수 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