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리병철 “정찰위성 6월 발사”…싱가포르 한미일회담 흔들기 노리나

김성훈 기자(kokkiri@mk.co.kr) 2023. 5. 30. 15: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레이더P]
北, 軍서열 1위 내세워 위성 정당성 강변
“美군사행동 실시간 감시” 맞대응 의지도
美VOA “동창리 이동식 조립동 발사대 밀착”
지난 2021년 신형 탄도미사일 발사를 참관하며 박수를 치는 리병철 북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왼쪽 넷째). [조선중앙통신·매경DB 자료사진]
리병철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30일 관영매체에 입장문을 발표해 ‘6월 정찰위성 발사’ 방침을 재차 강조했다.

리 부위원장은 입장문에서 정찰위성 발사가 미국 등에 대응하기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고 강변했다. 외신은 발사 준비가 막바지에 이른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 위성발사장 일대의 모습을 전했다.

이날 리 부위원장은 입장문에서 “6월에 곧 발사하게 될 우리(북한)의 군사정찰위성 1호기와 새로 시험할 예정인 다양한 정찰수단”이라는 표현을 썼다. 전날 국제해사기구(IMO) 등에 통보한 발사 일정이 정찰위성 발사를 위한 것임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이는 정찰위성은 물론 무인기 등 여타 정찰자산도 지속적으로 시험·개발하겠다는 의미로도 읽힌다.

그는 정찰위성 확보 목적에 대해서는 “침략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미국과 그 추종무력들의 위험한 군사행동을 실시간으로 추적, 감시, 판별하고 사전에 억제 및 대비하며 군사적 준비태세를 강화하는데 필수불가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엔 결의를 어기는 자신들의 정찰위성 발사를 정당화하며 한국과 미국, 일본 등에 책임을 떠넘기겠다는 의도인 셈이다.

유엔 결의 어긴 위성발사…한미일에 책임전가
리 부위원장은 입장문에서 △한미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 △확산방지구상(PSI) 해양차단훈련 △미군 전략핵잠수함 한반도 전개 △미군 정찰기 활동 급증 등 자신들을 겨냥한 한미의 군사적 움직임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한미의) 군사적 준동이 불러온 현 정세하에서 정찰정보수단 확대와 각이한(다양한) 방어 및 공격형무기들을 갱신할 필요성을 부단히 느끼고 있으며, 그 발전계획들을 실행해나갈 시간표들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 주역이자 군 서열 1위인 리 부위원장을 통해 입장을 밝힌 것은 이러한 자신들의 입장에 무게를 싣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리 부위원장이 입장문에서 미국 공중정찰수단의 한반도 배비(배치)와 자신(북한)들에 대한 정탐행위를 꼭 집어 비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분석했다. 양 교수는 “한미의 무분별한 군사적 활동이 자신들로 하여금 전쟁억제력 강화와 위성개발을 실행하게 했다는 논리”라고 말했다.

싱가포르 한미일 국방장관회담 전 ‘의제뺏기’
지난해 6월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 참석 중인 이종섭 국방부 장관(오른쪽)이 11일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서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가운데), 기시 노부오 일본 당시 방위상과 한·미·일 국방장관 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매경DB]
북측이 정찰위성 발사시기를 ‘6월’로 명토 박은 것은 이번 주말 싱가포르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를 계기로 한·미·일 국방장관회담을 염두에 둔 선택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주요 외교안보 고위급 다자회동을 전후로 고강도 도발을 일으켜 논의 의제를 선점하는 북한의 고전적인 ‘헤드라인 뺏기’ 전술이다. 북측으로서는 한·미·일 미사일 정보 실시간 공유체계 구축의 중요한 계기가 될 이번 회담 테이블을 어지럽혀 3국 간 공조를 방해하는 효과를 노렸을 개연성도 있다.

이날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미국 ‘플래닛 랩스’가 전날 찍은 동창리 발사장 일대 위성사진에서 이동식 조립 건물이 발사대 바로 옆에 붙어있는 모습이 식별됐다고 보도했다. VOA는 “북한이 이동식 조립 건물을 이번처럼 발사대와 맞붙도록 한 것은 지난 2016년 (광명성 4호위성) 발사 이후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발사 준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이동식 조립 건물은 바닥에 딸린 선로로 발사장 동쪽의 주처리 건물과 약 140m 떨어진 서쪽의 발사대 사이를 오갈 수 있다. 이 건물이 발사대 바로 옆까지 이동한 것은 발사체(로켓)와 탑재물(위성)의 조립이 끝나 발사대 거치가 임박했다는 징후로 볼 수 있다. VOA는 북한이 이번에 쏠 로켓이 액체와 고체 가운데 어떤 연료를 사용할지는 불분명하다고 덧붙였다

軍 “한미 정보당국, 北도발 예의주시”
해병대 신속기동부대가 상륙돌격장갑차(KAAV)를 이용하여 서북도서로 전개하는 모습. [사진제공=해병대사령부]
이날 군 당국은 한미 연합 정보자산을 활용해 북한의 위성발사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성근 합동참모본부 공보차장은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정보당국은 긴밀한 공조하에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며 “북한이 주장하는 소위 위성 등 다양한 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도 추적·감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이날부터 사흘 일정으로 서북도서 방어훈련에 들어갔다.

서북도서방위사령부가 주관해 내달 1일까지 펼쳐지는 이번 훈련에는 육·해·공군과 해병대 전력이 참가한다. 이 훈련은 과거 매년 두 차례 실시됐고, 2017년 이후 멈췄다가 6년 만에 재개됐다. 한미는 훈련 기간 중 유·무인 정찰기 전력을 대거 투입해 북한군 동향을 감시·추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