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앞 월대서 쇠고리·석렬 등 유물 발견… 조선 전기부터 활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앞 공간이 조선 전기부터 활용됐다는 것을 보여주는 유물이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는 30일 광화문 월대(月臺·궁궐 주요 건물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터보다 높게 쌓은 단)의 복원·정비를 위한 추가 발굴조사 과정에서 고종(재위 1863~1907)시기보다 앞선 것으로 추정되는 유구를 일부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햇빛가리개용 철제 고정쇠도 발견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앞 공간이 조선 전기부터 활용됐다는 것을 보여주는 유물이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는 30일 광화문 월대(月臺·궁궐 주요 건물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터보다 높게 쌓은 단)의 복원·정비를 위한 추가 발굴조사 과정에서 고종(재위 1863~1907)시기보다 앞선 것으로 추정되는 유구를 일부 확인했다고 밝혔다. 유구는 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다.
이번 조사는 문화재청이 지난달 언론공개회를 통해 광화문 월대 규모와 기초시설, 전체 모습 등 그간 조사가 완료된 성과를 한 차례 공개한 이후 추가로 실시한 것이다. 조사 결과 월대 중앙부에 자리했던 어도(임금이 지나가는 길)의 서쪽 하부 120㎝ 지점에서 사각형의 석재가 확인됐다. 해당 지점은 조선 전기에 해당하는 14~16세기의 문화 양상을 알 수 있는 지층에 속한다.
사각형의 석재를 중심으로 양쪽에 남북 방향으로 크고 작은 돌들이 길게 이어졌고, 석재 중앙에는 직경 6㎝의 철제 고정쇠도 박혀 있었다. 연구소는 “이런 형태는 궁중 행사에서 햇빛을 가리기 위해 사용되는 차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와 유사하며, 경복궁 근정전이나 종묘에서도 유사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쪽에 이어지는 돌은 약 85㎝ 너비로 남아 있었는데, 어도지 동쪽에서도 비슷한 유구가 확인됐다. 연구소는 고종 대에 들어선 월대 아래에서 조선 전기의 유구가 나온 점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소는 “광화문 앞 공간을 활용해 왔다는 사실은 조선왕조실록 등의 기록을 통해서만 알 수 있었는데, 관련한 물적 증거를 처음 확인하는 성과가 있었다”고 부연했다.
광화문 앞 공간의 퇴적 양상도 확인했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지층에서 조선 전기 문화층과 조선 중·후기 문화층(17세기 이후), 월대 조성층(19세기)을 거쳐 근현대 도로층(20세기)의 순으로 형성된 것으로 조사됐다. 조선 중·후기로 추정되는 유구는 조선 전기 문화층을 일부 파괴하고 만들어진 지층에서 확인돼 임진왜란 이후 경복궁이 방치돼 있었던 상황도 엿볼 수 있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광화문 월대는 일제강점기를 지나며 해체됐는데, 문화재청은 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올해 10월까지 월대 복원 공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현대차가 공들이는 인도… 벤츠·BMW도 적극 공략
- [체험기] 애플 인텔리전스, AI가 영문 기사 요약·사진 편집… “늦게 나왔는데 특별한 건 없네”
- [인터뷰] AI로 심혈관 치료하는 의사 “환자 비용과 의료진 부담 동시 줄인다”
- 올해 개미 평균 31% 손실 … 남은 두 달, 반전 가능할까
- [르포] 수출액 10억불 넘긴 ‘K라면’… 농심, 도심 속 라면 축제 개최
- [실손 대백과] 치료·수술 사용 ‘치료재료대’ 보험금 받을 수 있다
- [과학영재교육 갈림길]② 의대 준비하러 대학 일찍 간 과학영재들, 조기진학제 손 본다
- [단독] 삼성전자, P2·P3 파운드리 라인 추가 ‘셧다운’ 추진… 적자 축소 총력
- [단독] 서정진 딸 관련 회사 과태료 미납, 벤츠 차량 공정위에 압류 당해
- [단독] ‘레깅스 탑2′ 젝시믹스·안다르, 나란히 M&A 매물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