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기 필요한 사회보다 보편적 기회있는 사회를 원합니다"

제주CBS 박혜진 아나운서 2023. 5. 30. 10: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핵심요약
[장애공감 제주사회=제주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장 김경미 의원]
"11대 비례대표 이어 12대 지역구 도전 성공…전국 최초 여성중증장애인 광역의원 당선"
"고3때 수어 보급 확산, 장애인여성 성폭력문제 지원 등 인권침해 적극 지원"
"장애로 결혼, 육아, 지역구 선거 등 매 순간 용기 갖고 도전"
"용어 개선 필요…장애인(○), 장애자(×), 장애우(×)"
"장애인 화장실 안에 청소도구 비치한 사례 많고 휠체어 진입 어려워"
"노약자, 장애인, 유모차 끄는 부모 모두 편한 유니버셜 디자인 적용되는 사회 되길"
제주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장 김경미 의원

■ 방송 : CBS 라디오 <시사매거진 제주> FM 제주시 93.3MHz, 서귀포 90.9MHz (17:00~17:30)
■ 방송일시 : 2023년 5월 26일(금) 오후 5시
■ 진행자 : 박혜진 아나운서
■ 대담자 : 제주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장 김경미 의원

◇박혜진>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 장애 공감 사회를 만들어 갑시다' 이 시간에는 각자의 삶에서 최선을 다하는 장애인 분들 또 열정 인생을 살아가는 분들을 만나보는 시간으로 함께 하는데요. 오늘은 제주도의회에서 보건복지안전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경미 의원을 스튜디오에서 만나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미> 네. 안녕하십니까.  

◇박혜진> 의원님께서는 도민을 대변하기 위해 11대 그리고 12대까지 도의회에서 활약하고 계신데 도의회에서 어떤 마음으로 활동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김경미> 제가 11대 비례대표로 처음 도전할 때 슬로건이 '활짝 피어라 삶을 바꾸는 정치'입니다. 저는 도민의 삶 그리고 개인적으로 제 삶을 바꿀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가 정치라고 보는 입장이거든요. 의원이 정치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필요한 것들을 입법 활동으로서 그리고 예산의 우선순위를 배정하는 것들이 의원의 역할입니다.

삶을 바꾸는 정치가 되어야 되겠다라고 생각을 했고 도민들이 강력한 무기를 제게 재선까지 주셔서 어떻게 잘 활용할 수 있을까. 도민들에게 필요한 정치는 무엇일까. 이런 것들이 제가 하고 있는 그런 마음이 반영된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박혜진> 현재 제주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계시는데 요즘 어떤 사안에 관심을 두고 계신지도 궁금합니다.  

◆김경미> 요즘 1인 가구도 가정의 범위 안에 들어와 있거든요. 제주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고 맞벌이 부부 비율이 제주가 가장 높습니다. 이러한 제주의 상황을 볼 때 이제는 돌봄이 가정의 책임이 아니고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상황이 됐다고 생각합니다.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돌봄이 사회의 책임이다라는 것을 더더욱 도민들이 알게 됐거든요. 보건복지안전위원회 소속 의원님들과 함께 지난해 9월 지역사회에 기반한 공동체 돌봄 체계 구축을 위한 워킹그룹을 발대했습니다.

공청회는 물론 필요하다면 조례를 제정해서 도민의 돌봄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들을 마련하고 예산에 편성하기 위해 의기투합해 만든 모임입니다.

◇박혜진> 의원님께서는 도의회에 입성하기 전 장애인 인권을 위해서 열심히 일을 해오셨잖아요. 현장에서 일하는 것과 도의회에서 활동하는 것 어떤 차이가 있나요.

◆김경미> 제가 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활동을 했는데 지금은 수어를 제2의 국어다라고 하지만 당시는 비장애인이 수어를 배우는 것도 이해가 안 됐던 1980년대 상황이었거든요.  그래서 수어보급에 대해서 많은 활동을 했습니다. 현장에서는 인식 개선에 주안점을 두고 인권 침해에 대한 것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하거든요.

저는 수어 활동하면서 나중에 여성장애인 성폭력 사건을 지원하는 데까지 일을 하게 된 걸 보면 현장은 인식 개선과 다양한 지원책이 간다면 의회에서는 차별적 요소를 발견해서 입법 활동으로 제도를 보완하는 것이 가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박혜진> 오늘 이 시간은 각자의 삶에서 최선을 다하는 장애인분들을 만나는 시간이기도 한데 의원님께서는 어떤장애를 갖고 계세요.  

◆김경미> 장애인복지법에 따라서 저는 지체장애인이고 그걸 중증, 경증으로 나누면 중증에 해당하죠. 지체장애인 중증 장애인입니다.  

◇박혜진> 그동안 장애를 갖고 살아면서 때로 용기가 필요할 때가 있으셨나요.

◆김경미> 이번 지역구 도전도 용기였고요. 저는 우리 사회가 용기가 꼭 필요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냥 도전하고 싶은 사람은 뭐든지 도전할 수 있도록 보장이 되면 좋은데 꼭 용기가 필요하게 되더라고요. 일단 저는 결혼도 용기였고요. 아이를 어떻게 키우지? 이런 생각으로 결혼할 때 남편에게 아이를 낳지 않는 조건으로 결혼했어요.

물론 제가 24살이라 이게 먹힐 줄 알았더니 아니더라고요. 아이를 키우는 것도 대단한 용기가 필요했고 이제는 용기가 아닌 좀 더 기반이 조성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고요. 당시 대학 입시때 중증장애인은 아무리 공부를 잘해도 면접에서 떨어질 때였어요. 지금은 장애인 특별전형이라는 제도도 있지만 당시에는 그러지 않았거든요.

우리 사회가 정말 용기가 필요했던 부분들이 너무 많은 거예요. 삶이 늘 용기보다는 더불어 사는 세상에 그냥 실력과 능력이 있다면 똑같이 기회를 제공하는 그런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박혜진> 장애인을 대할 때 비장애인들이 모르고 하는 실수들이 있을텐데 어떤 것이 있을까요?

◆김경미> 저는 오늘 딱 하나 용어에 대한 얘기만 하겠습니다. 우리가 처음에 장애인이라고 하기 전에 장애자라는 말을 썼어요. 1981년 심신장애자 복지법이에요. 이 장애자에 자(子)가 놈자에요. 이게 약간 비하가 될 수 있는 면에서 장애인으로 호칭이 다 바뀌었는데요.

가끔 장애우라고 표현을 하는 분도 계세요. 장애우(友)는 벗 우자잖아요. 결국 어르신 장애인에게도 장애우라고 하면 어르신의 나이를 우리가 3인칭으로 생각하지 않는 용어들이잖아요. 결국 장애인이 불쌍하고 동정의 뜻을 내포할 수 있어서 장애인으로 용어가 정리되야 합니다. 용어 하나만으로도 역사가 내포되어 있고 장애인의 인식이 얼마만큼 우리 문화에 담겨 있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용어만큼은 잘 사용해 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박혜진> 의원님이 지금까지 이 자리까지 달려올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인가요.

◆김경미> 정말 소소한 것에서 출발했어요. 저는 거창하게 누구를 위한 삶이기보다는 제가 당장 불편하니까 나서게 된 것 같습니다. 정말 가끔 하나님께 감사할 때가 있는데요. 가끔 감사한 건 그래도 우리 45명 의원 중에 제가 가장 낮은 자이기 때문입니다. 가장 낮은 자의 눈높이로 바라보기 때문에 그게 다른 분들보다 먼저 발견하는 감수성이 높은 거죠. 관심도 가고요.

그런 것들이 여기까지 달려올 수 있었던 비결이 아닐까요. 제가 불편하니까 제 가족이 중증장애 엄마를 두다 보니 제 딸이 초등학교 어릴 때부터 설거지를 다 했거든요. 그래서 가사도우미가 있었으면 좋겠다. 조금 더 확대돼 임신, 출산, 양육하는 엄마들에게 가사 지원을 해주자. 그래서 지금 여기까지 지원이 되고 있잖아요. 그런 감수성으로 일상의 불편함을 먼저 발견할 수 있는 혜안을 가진 게 아닌가. 여기까지 온 비결인 것 같습니다.  

◇박혜진> 장애에 대한 인식은 과거보다 많이 나아졌다고 생각하세요.  

◆김경미> 과거보다는 나아졌죠. 하지만 아직도 부족하다. 장애인 화장실이 있잖아요. 근데 장애인 화장실에 들어가 보면 청소 도구함이 정말 많아요. 근데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해보면 내 화장실에 그런 것들이 비치되어 있으면 너무 불쾌하죠.

그런데 더 불편한 건 그렇게 하면 휠체어가 접근이 안 돼요. 장애인 화장실은 있으나 사용하지 못하는 이런 인식이 부분적으로 개선해야 할 부분이라고 봅니다. 제도가 아무리 있어도 현장에서 그 제도가 활용이 안 되는 부분도 있고 배제 분리에 대한 얘기를 하는데요.

유니버셜 디자인 같은 경우는 모두가 편한 디자인이잖아요. 마을 회관이 2층 정도 되는데 엘리베이터가 있다면 어르신도 쉽게 올라가고 저도 쉽게 올라가고 유모차를 끌고가고 모두가 편한 디자인이 되어야 되는데 장애인을 위한 엘리베이터는 어떻게 보면 배제 분리에 대한 부분이거든요. 모두가 편한 디자인으로 우리 동네가 바뀌어야 된다는 것들이 조금 더 확장되고 또 잘 활용할 수 있는 그런 것들이 개선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박혜진> 마지막으로 도민들에게 한 말씀 전해주시죠.  

◆김경미> 장애공감 사회는 소수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보거든요. 소수의 권리를 보호하는 길은 결국 다수의 여러분들이 함께 참여해 주셔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공감 사회를 다수의 여러분이 함께 참여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박혜진> 오늘 말씀 감사하고요. 나와주셔서 고맙습니다.

◆김경미> 네. 감사합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제주CBS 박혜진 아나운서 zzzini@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