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인터뷰] 미 ‘부채한도’ 타결…여파는?

KBS 2023. 5. 29. 23: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우리가 미국의 부채 한도 협상을 긴장하며 지켜본 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 때문일 겁니다.

협상 타결 그 후를 전망해봅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연구실장 나오셨습니다.

[앵커]

드디어 협상이 타결됐습니다.

더이상 미국 부채한도 위기, 걱정 안 해도 되는 겁니까?

[앵커]

이미 미국국가는 4경 규모의 빚이 있는데 여기서 부채가 더 늘어나도 문제없는 거예요?

[앵커]

빚이 늘었으니 씀씀이를 줄여야겠죠.

그래서 정부 예산을 삭감하기로 했는데, 이 합의가 또 다른 경기 침체의 뇌관이 될 가능성도 있을까요?

[앵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졌습니다.

그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도 멈추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생기는데 정작 미국은 '금리 인상' 걱정으로 바짝 긴장해있죠, 왜 그런 거예요?

[앵커]

물가는 안 잡혔는데 침체 우려는 큰 상황, 보름 뒤 미국 중앙은행은 어떤 결정을 내릴까요?

[앵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까지 보름 앞, 지켜봐야 할 지표는 뭔가요?

[앵커]

주식 시장이 가장 싫어하는 게 불확실성이죠.

이번 부채한도 협상 타결로 해소될까요?

[앵커]

미국의 경제가 여전히 복합적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 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