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간 긴축에도…가계빚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
금리 인상 등 2년 가까이 강도 높은 긴축 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가계빚이 국가 경제 규모 대비 세계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부채의 경우 장기간 긴축에도 오히려 늘어났고, 정부 부채는 소폭 줄었다.
29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보고서를 보면 1분기 기준으로 세계 34개 나라(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한국이 102.2%로 가장 높았다. 이어 홍콩(95.1%), 태국(85.7%), 영국(81.6%), 미국(73.0%), 말레이시아(66.1%), 일본(65.2%), 중국(63.6%) 등의 순이었다.
한국은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가계 부채가 경제 규모(GDP)를 웃돌았다. 다만 1년 전인 작년 1분기와 비교하면, 한국의 가계 부채 비율은 105.5%에서 102.2%로 3.3%포인트 낮아졌다. 하락 폭은 폴란드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영국에 이어 여섯 번째로 컸다.
2021년 하반기 시작된 글로벌 기준금리 인상 릴레이 여파로 한국의 가계 부채도 덩치가 줄어든 것이지만, GDP를 상회하는 독보적인 가계빚 규모를 의미 있게 줄이는 데는 역부족이었던 셈이다.
기업 부채의 경우 오히려 상황이 더 나빠졌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GDP 대비 한국 비금융기업의 부채 비율은 3.1%포인트 상승했는데, 긴축 기조가 이어진 지난 1년간 기업 부채 비율이 높아진 나라는 한국을 비롯해 10개국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1분기 GDP 대비 한국의 기업 부채 규모는 118.4%로 홍콩(269.0%), 중국(163.7%), 싱가포르(126.0%)에 이어 네 번째로 높았다.
한국 기업 부채 비율 상승 폭은 베트남(8.5%포인트), 중국(7.8%포인트), 칠레(5.6%포인트)에 이어 34개국 가운데 4위였다. 그만큼 팬데믹 충격을 많이 받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반면 정부 부문 부채 비율은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IIF는 1분기 한국의 GDP 대비 국가 부채 비율이 1년 전 47.3%에서 44.1%로 3.2%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이는 조사 대상 34개국 가운데 22번째로 높은 수치다. 1년간 정부 부채 비율 등락 폭(-3.2%포인트)도 18위로 역시 중위권이었다.
새 정부 출범 후 허리띠를 졸라매는 긴축 재정으로 경제 기조를 전환하면서 국가 부채 상황이 개선됐다고 풀이될 수 있는 대목이다. 바꿔 말하면 가계 부채를 더 줄이고, 기업 부채를 늘리지 않을 기회를 놓쳤다는 뜻도 된다.
이호준 기자 hjl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도 부정선거라 생각했다”···현장 보고 신뢰 회복한 사람들
- 국힘 박상수 “나경원 뭐가 무서웠나···시위대 예의 있고 적대적이지도 않았다”
- 늙으면 왜, ‘참견쟁이’가 될까
-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이사장 해임 “모두 이유 없다”…권태선·남영진 해임무효 판결문 살펴
- 내란의 밤, 숨겨진 진실의 퍼즐 맞춰라
- ‘우리 동네 광장’을 지킨 딸들
- 대통령이 사과해야 되는 거 아니에요? 사과해요, 나한테
- 독일 크리스마스 마켓에 차량 돌진…70명 사상
- [설명할경향]검찰이 경찰을 압수수색?···국조본·특수단·공조본·특수본이 다 뭔데?
- 경찰, 경기 안산 점집서 ‘비상계엄 모의’ 혐의 노상원 수첩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