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직기자 출신 최일남 전 한국작가회의 이사장 별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직 기자 출신으로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을 지낸 최일남 작가가 28일 91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대한민국예술원과 유족에 따르면 최 작가는 지난 26일 지병이 악화해 병원에서 치료받다가 이날 0시 57분 생을 마감했다.
최 작가의 유족은 고인에 대해 "엄혹했던 시절 동아일보 기자로서 김중배 선생과 함께 격주로 칼럼을 연재했다. 당시 최일남 칼럼과 김중배 칼럼이 우울했던 시절 사람들에게 희망과 정보를 준 것 같다"고 회고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0년 해직언론인협의회 회장으로 활동
해직 기자 출신으로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을 지낸 최일남 작가가 28일 91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대한민국예술원과 유족에 따르면 최 작가는 지난 26일 지병이 악화해 병원에서 치료받다가 이날 0시 57분 생을 마감했다.
1932년 전북 전주에서 출생한 최 작가는 전주사범학교를 거쳐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재학 중인 1953년 '문예'지에 '쑥 이야기'가 발표됐고, 1956년 '현대문학'에서 '파양'을 추천받아 본격적으로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서울사람들'(1957), '타령'(1977), '홰치는 소리'(1981), '누님의 겨울'(1984), '때까치'(1994), '아주느린시간'(2000), '잊을수 없는 밥 한 그릇'(2015) 등 다수의 단편집을 출간했다. 또한 '거룩한 응달'(1982), '하얀손'(1994), '덧없어라 그 들녘'(1996), '국화밑에서'(2017) 등 여러 장편 소설과 '말의 뜻 사람의 뜻'(1988), '정직한 사람에 꽃다발은 없어도'(1993), '어느 날 문득 손을 바라본다'(2006) 등 여러 편의 에세이를 썼다.
한국일보문학상, 이상문학상, 인촌문화상, 한무숙문학상, 김동리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2008∼2010년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예술원에 몸담고 있었다.
민국일보, 경향신문을 거쳐 동아일보에서 기자 생활을 했으며, 1980년 신군부의 언론탄압으로 동아일보 편집부국장과 문화부장을 겸하던 중 해직당했다.
1984년 동아일보 논설위원으로 복직했으며, 1988∼1991년 한겨레신문 논설고문을 지냈다. 80년 해직언론인협의회 회장, 방송문화진흥회 이사로도 활동했다.
작가이자 언론인으로 왕성하게 집필한 고인은 1995년 장지연 언론상을 받았다.
1997년 발표한 '만년필과 파피루스'에는 언론계에 대한 고인의 뼈아픈 고백과 문제의식이 담겨 있다.
최 작가의 유족은 고인에 대해 "엄혹했던 시절 동아일보 기자로서 김중배 선생과 함께 격주로 칼럼을 연재했다. 당시 최일남 칼럼과 김중배 칼럼이 우울했던 시절 사람들에게 희망과 정보를 준 것 같다"고 회고했다.
유족은 1남 1녀와 사위, 며느리 등이 있다. 빈소는 분당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3호실, 발인은 30일 오전 9시.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왜 승차 거부해"…택시기사에 행패 부린 개그맨 법정구속
- 처음 만난 20대女 살인·여행용 가방에 넣어 유기한 20대女…무슨 일?
- 마세라티 차주, 살짝 흠집 났는데 중학생 부모에…"수리비 2100만원"
- 전 육군장교, 성관계 상습 몰카…청소년 성 착취물 수천개도 소지
- 횟집 `9만원 먹튀` 알고보니 가게측 착오…"손님께 죄송"
- 中 4월 제조업 PMI 49.0… "관세전쟁 여파로 급락"
- 또 커진 예대마진…은행들 대선 표적될까 `전전긍긍`
- SKT 뚫리자 경각심↑… 보안 기업 관심도 덩달아 `쑥`
- 이재명 외연 확장 나서는데… 자중지란 빠진 국민의힘
- 韓美 관세 협상 출발점 기술협의 돌입…이번주 협상 윤곽 잡힐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