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 밑에서’ 소설가 최일남 별세…향년 91세

박세희 기자 2023. 5. 28. 18: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원로 소설가 최일남 작가가 28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1932년 전북 전주에서 출생한 최 작가는 서울대 국문과 재학 중 1953년 '문예'지에 '쑥 이야기'가 추천되고 1956년 '현대문학'에 단편 '파양'을 추천받아 등단했다.

고령에도 글쓰기를 이어온 최 작가는 지난 2017년 소설집 '국화 밑에서'를 펴내며 문화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작가가 글을 쓰는 건 당연한데 관심을 가져줘 쑥스럽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일남 작가. 뉴시스

원로 소설가 최일남 작가가 28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1세.

대한민국예술원과 유족에 따르면 최 작가는 지난 26일 몸 상태가 악화해 병원에서 치료받다 이날 0시 57분 생을 마감했다.

1932년 전북 전주에서 출생한 최 작가는 서울대 국문과 재학 중 1953년 ‘문예’지에 ‘쑥 이야기’가 추천되고 1956년 ‘현대문학’에 단편 ‘파양’을 추천받아 등단했다.

‘서울사람들’(1957), ‘타령’(1977), ‘홰치는 소리’(1981), ‘누님의 겨울’(1984), ‘때까치’(1994), ‘아주느린시간’(2000), ‘잊을수 없는 밥 한 그릇’(2015) 등 다수의 단편집을 출간했으며, ‘거룩한 응달’(1982), ‘하얀손’(1994), ‘덧없어라 그 들녘’(1996), ‘국화밑에서’(2017) 등 여러 장편 소설과 ‘말의 뜻 사람의 뜻’(1988), ‘정직한 사람에 꽃다발은 없어도’(1993), ‘어느 날 문득 손을 바라본다’(2006) 등 에세이를 여러 편 발표했다.

고인은 민국일보, 경향신문을 거쳐 동아일보에서 기자 생활을 한 언론인 출신이다. 1980년 신군부의 언론탄압으로 동아일보 편집부국장과 문화부장을 겸하던 중 해직당했다. 1984년 동아일보 논설위원으로 복직했으며 1988∼1991년 한겨레신문 논설고문을 지냈다.

급격한 도시화 속 일들을 풍자와 해학으로 녹여내는 작업을 해온 고인은 편중되지 않은 시각과 예리한 비판으로 사회성을 갖춘 문학세계를 구축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고령에도 글쓰기를 이어온 최 작가는 지난 2017년 소설집 ‘국화 밑에서’를 펴내며 문화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작가가 글을 쓰는 건 당연한데 관심을 가져줘 쑥스럽다”고 말했다.

유족은 1남 1녀와 사위, 며느리 등이 있다. 빈소는 분당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3호실이며 발인은 30일 오전 9시다.

박세희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