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글살이] 예민한 ‘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믿길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당신이 상상하는 것보다 갑절은 예의 바르다.
몸에는 온통 보수적이고 체제 순응적인 습이 배어 있어 예의범절에 어긋난 언행은 어지간해서는 하지 않는다.
식당 직원이 "몇분이세요?"라 묻는다면 당신은 뭐라 답을 하는가? 나는 이때 참 난처하더라.
"세분요"라고 하면 나도 높여 말하는 거라 민망하고, "세명요"라거나 "세 사람요"라고 하면 어른 두분을 싸잡아 낮추는 것 같아 머뭇거려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말글살이]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믿길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당신이 상상하는 것보다 갑절은 예의 바르다. 몸에는 온통 보수적이고 체제 순응적인 습이 배어 있어 예의범절에 어긋난 언행은 어지간해서는 하지 않는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들지 않으면 결단코 음식을 먼저 먹지 않는다.
이 ‘예의범절’이란 녀석은 또렷하기보다는 막걸리처럼 뿌옇고 흐릿하다. 법보다는 관행에 가깝고 경험에서 비롯된 게 많아 사람마다 기준도 들쑥날쑥하다. 감각에 가까운지라, 어떤 상황에 직면했을 때 몸과 마음이 곧바로 익숙한 쪽으로 쏠린다. 말보다 몸이 먼저 반응한다. 그런데 가끔 무엇이 예의 있는 언행일지 멈칫하는 순간이 있다. 이를테면 이런 장면이다.
어른 두분을 모시고 식당에 갔다고 치자. 식당 직원이 “몇분이세요?”라 묻는다면 당신은 뭐라 답을 하는가? 나는 이때 참 난처하더라. “세분요”라고 하면 나도 높여 말하는 거라 민망하고, “세명요”라거나 “세 사람요”라고 하면 어른 두분을 싸잡아 낮추는 것 같아 머뭇거려진다. 그렇다고 “두분과 한명요”라고 하면, 말도 구차해 보이고 바쁜 직원에게 복에 없던 덧셈을 하게 만드는 일이 된다. 그래서 속으로 ‘역시 난 비겁한 길만 택하는군’ 하면서 “셋이요!”라고 한다.(모래야,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나는 얼마큼 쪼잔하냐?)
인간은 당연한 듯이 이 세계를 나와 남, 자신과 타인으로 분별한다. 게다가 한국어는 상대를 높이고 자신을 낮추는 겸양의 질서를 촘촘히 갖추고 있다. 높여야 할 상대와 낮춰야 할 자신이 한 덩어리 말에 뭉쳐 들어갈 때 허점을 보인다. 반갑다, 무질서한 질서.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비에 녹은 황금연휴…상인들은 울상, 부모들은 진땀
- 공포의 착륙 중 “도와달라” 승무원 요청에 ‘눈 마주친 그’를 제압했다
- 여객기 비상문 연 30대 승객 구속 “도주 우려 있다”
- ‘들러리 우려’ 시찰단 돌아온 뒤…일본 “식품 수입규제 철폐하라”
- 마동석의 ‘범죄도시3’…105분 내내 ‘원 펀치 원 개그’
- 이충상 “인권위원장 좌편향” 게시판 ‘총질’까지…“곧 위원 바뀔 텐데”
- ‘중국 없는 아시아 경제’ 꿈꾸는 IPEF…미국 뜻대로 될까?
- 5월인데 독감이 ‘역대급’…7~18살 또래 발병 급증
- ‘들러리 우려’ 시찰단 돌아온 뒤…일본 “식품 수입규제 철폐하라”
- 윤 대통령·김건희 여사, ‘새롬이’와 함께 ‘TV동물농장’ 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