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ICT산업 인력 110만명 돌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인력이 110만명을 넘어서면서 전년 대비 2%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의 '2022년 ICT 인력동향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ICT 산업의 총 인력 규모는 110만2798명으로 전년보다 2.2% 증가했다.
부문별로 게임 등 소프트웨어(SW) 개발 및 제작업에 종사하는 인력은 34만9305명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해 ICT 산업에서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인력이 110만명을 넘어서면서 전년 대비 2%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의 '2022년 ICT 인력동향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ICT 산업의 총 인력 규모는 110만2798명으로 전년보다 2.2%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 1~11월 30일 산업별 표본 설계에 따른 표본 조사로 진행됐다.
부문별로 게임 등 소프트웨어(SW) 개발 및 제작업에 종사하는 인력은 34만9305명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해 ICT 산업에서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전자 부품, 통신 및 방송 기기업 등 정보통신방송기기업(61만7306명)은 같은 기간 1.8% 성장했고, 통신 및 방송을 서비스하는 정보통신방송서비스업(13만6187명)은 0.5% 늘었다. 다만 비중으로 보면 정보통신방송기기업 인력은 전체 ICT 인력의 56.0%로 가장 컸다. SW 개발 및 제작업과 정보통신방송서비스업은 각각 31.7%, 12.3%였다.직종별로는 사무관리직이 48만486명으로 가장 많았고, 생산직은 34만6672명, 연구기술직 19만9118명, 방송직 2만2545명으로 확인됐다. KAIT는 "ICT 산업의 융복합으로 급변하는 스마트 시대에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효율적 ICT 전문 인력 양성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밝혔다.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부관계 도중 잠드는 남편, 이유는 저질체력…서장훈 "정신 차려" 일침(종합)
- 선우용여, 국내 1호 혼전임신 연예인…"딸 고향이 호텔" 고백 [RE:TV]
- 오윤아, 발달장애 子 향한 편견에 울컥…"왜 여기서 키우냐는 말까지" [RE:TV]
- 김수미, 아들 술버릇에 속상한 며느리 서효림에 "아니다 싶으면 끝내라 했다"
- '김남주♥' 김승우, 정치 유튜버 도전…"양쪽에서 제안 많이 받아"
- 블핑 제니, 파격 속옷 화보…잘록 허리에 볼륨감까지 [N샷]
- 美플로리다서 사람 시신 물고다니던 악어 발견…안락사 처리
- '징맨' 황철순 아내 "양심 있으면 양육비 보내"…이혼소송 중 설전
- 49㎏ 감량 최준희 "주 4~5회 음주…숙취 없어"
- 김새롬 "돌싱 선구자 서장훈, 내 인생의 롤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