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여름인데, 독감 환자 수 23년만에 최다... ‘쌍봉형 유행’ 우려

김경은 기자 2023. 5. 28. 17: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에서 승객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뉴스1

연일 20도를 웃도는 날씨에도 통상 겨울철에 유행하는 독감(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5월 독감 환자 수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가장 많다.

2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20주 차(5월 14~20일) 전국 병·의원 196곳을 찾은 외래 환자 1000명당 독감 의심 증상 환자(인플루엔자 의사 환자 분율)는 25.7명으로 직전 주(23.4명)보다 2.3명 늘었다. 4주 전(19.9명)보다는 29.1% 증가했다.

지난해 말 정점에 이르렀던 독감 환자 수가 지난 2월 즈음 저점을 찍었다가 다시 점점 늘기 시작해 이달 들어 이례적으로 증가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독감 환자는 봄이 되면 줄어든다. 올해는 다르다. 지난해 마지막 주(12월 25~31일) 60.7명까지 치솟은 뒤 하락세를 보이며 올해 8주 차(2월 19~25일) 11.6명으로 저점을 찍었다. 하지만 이후 다시 증가하며 석 달 만에 갑절로 늘었다. 그동안 20주 차 의사 환자 분율이 가장 높았던 2019년(11.3명)의 2배 이상이다.

연령대별로는 13~18세(52.6명)와 7~12세(49.1명) 등 소아·청소년 사이 유행세가 두드러진다. 이어 1~6세(29.5명), 19~49세(28.1명), 0세(17.4명), 50~64세(10.5명), 65세 이상(6.5명) 순이었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독감 유행이 끝을 향해 가는 듯하다 증가 추세로 돌아서면서 ‘쌍봉형’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독감이 학교에서 유행한 뒤 가족 간 전파로 이어지고, 뒤따라 다른 사람이 전염되면서 환자가 늘고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큰 일교차 및 봄철 활동량 증가 외에 코로나 방역 조치 완화를 독감 유행의 주요 요인으로 꼽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 대책본부 전문위원회는 “지난 3년여간 마스크 착용과 부족한 외부 활동으로 기초적인 바이러스와 세균 방어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라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