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봄 독감 유행…지난주 환자수 2001년 이후 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통상 봄을 지나면서 잠잠해지는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올해는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환자수가 오히려 증가세로 돌아서더니 최근 20여년간 통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28일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올해 20주차(5월 14~20일) 외래환자 1천 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는 25.7명으로 직전 주(23.4명)보다 2.3명 오히려 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활동량 증가·방역 완화 등 영향…대중교통 마스크 해제후 반등
통상 봄을 지나면서 잠잠해지는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올해는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환자수가 오히려 증가세로 돌아서더니 최근 20여년간 통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28일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올해 20주차(5월 14~20일) 외래환자 1천 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는 25.7명으로 직전 주(23.4명)보다 2.3명 오히려 늘었다. 이번 절기(2022~2023년) 유행 기준은 4.9명인데, 4.8배에 달할 정도로 높은 수준이다.
질병청은 전국 196개 의원에서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정보를 수집하며 표본 감시를 해 의사환자 분율을 발표한다. 38도 이상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경우 의사환자로 분류된다. 연령대별로 보면 의사환자 분율은 13~18세(52.6명)와 7~12세(49.1명) 등 소아청소년 사이에서 가장 높았다. 그다음이 19~49세(28.1명), 1~6세(29.5명), 0세(17.4명), 50~64세(10.5명), 65세 이상(6.5명)이었다.
독감 환자는 봄이 되면서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지만 올해는 유행의 꼬리가 길면서 두껍다. 이번 절기 독감 의사환자 분율은 작년 마지막주(12월 25~31일) 60.7명까지 치솟은 뒤 하락세를 보여 올해 8주차(2월 19~25일) 11.6명까지 떨어졌다. 이때만 해도 유행이 끝을 향해 가는 듯했지만 이후 증가 추세로 돌아서며 ‘쌍봉우리’ 형태에 가까워지고 있다. 8주차와 20주차 석달 사이 의사환자 분율은 갑절로 늘었다.
노성열 기자
Copyrights ⓒ 문화일보 & www.munhw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남국 코인 폭로’ 인사에 “살해 협박”…하태경 “철저 조사” 촉구
- 산다라박 “온갖 男연예인 대시 받아…선후배 두루두루”
- 다리에 수천 명분 마약 매달고…北 남성 시신 강화도서 발견
- ‘딸 때문에 다른 사람 떨어진 적 없다?’…김웅 “조국 주장, 허위” 반박
- ‘먹튀’라며 CCTV 찍힌 손님 사진도 공개하고선… 알고보니 횟집 주인 착각
- 尹 지지율 45% 근접…전주대비 3.2%포인트 올라
- 우크라, 독일에 ‘타우러스’ 지원도 요청…러에 어디까지 반격하나
- “제주 가면 바가지 쓴 기분”… 국내여행객 확 줄었다
- [단독]‘우주청 설립 위해 왜 안 찾아오느냐’는 민주당...정부, 51회 국회 방문 중 야당 측 28회
- 이선희, ‘레슨비 43억’ 보도에 “무분별한 보도·댓글 법적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