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ICT산업 인력 110만명 돌파...SW분야 최고 성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인력이 110만명을 넘어서면서 전년 대비 2%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의 '2022년 ICT 인력동향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ICT 산업의 총 인력 규모는 110만2798명으로 전년보다 2.2% 증가했다.
부문별로 게임 등 소프트웨어(SW) 개발 및 제작업에 종사하는 인력은 34만9305명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해 ICT 산업에서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보통신방송기업인력이 56%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인력이 110만명을 넘어서면서 전년 대비 2%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의 '2022년 ICT 인력동향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ICT 산업의 총 인력 규모는 110만2798명으로 전년보다 2.2%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 1~11월 30일 산업별 표본 설계에 따른 표본 조사로 진행됐다.
부문별로 게임 등 소프트웨어(SW) 개발 및 제작업에 종사하는 인력은 34만9305명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해 ICT 산업에서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전자 부품, 통신 및 방송 기기업 등 정보통신방송기기업(61만7306명)은 같은 기간 1.8% 성장했고, 통신 및 방송을 서비스하는 정보통신방송서비스업(13만6187명)은 0.5% 늘었다. 다만 비중으로 보면 정보통신방송기기업 인력은 전체 ICT 인력의 56.0%로 가장 컸다. SW 개발 및 제작업과 정보통신방송서비스업은 각각 31.7%, 12.3%였다.
직종별로는 사무관리직이 48만486명으로 가장 많았고, 생산직은 34만6672명, 연구기술직 19만9118명, 방송직 2만2545명으로 확인됐다. KAIT는 "ICT 산업의 융복합으로 급변하는 스마트 시대에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효율적 ICT 전문 인력 양성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밝혔다.
#게임 #ICT #소프트웨어 #종사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혼' 이시영 "매일 사랑하는 사람들과 평화롭다면 얼마나 좋을까" 글 눈길
- 김수현 '노출 사진' 결국 공개됐다..故 김새론 유족 "연락 달라"는 김수현에 2차 입장 내놔
- '아빠'라 부르던 70대 동거남 성관계 요구에 20대 지적장애인은[사건의재구성]
- 신지호 "탄핵시 尹 상왕정치 우려돼…심지어 金 여사 후보설까지"
- 수원 일가족 사인은 "경부 압박에 의한 질식사"…'신변 비관' 참극에 무게
- 이시영 파경…요식업 사업가와 8년만 남남
- "뜨거운 커피 쏟아져 성관계 영원히 불가능"..스타벅스 727억 배상 '날벼락'
- 이홍기 "여벌 팬티 들고 다녔다"..악취로 수치심 느껴 우울증 부르는 '이 질환' [헬스톡]
- 김수현 측 故 김새론 의혹에 "가세연, 왜곡된 근거로 죄인 만들어"
- 고준희, 한번 본 일반인과 썸?…"관심 있는 이성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