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텍스 2023' 30일 개막...4년만에 글로벌 업체 컴백

권봉석 기자 2023. 5. 28. 08: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9일부터 ARM·엔비디아·퀄컴 등 기조연설·브리핑·1:1 시연 예정

(지디넷코리아=권봉석 기자)타이트라(TAITRA, 대만대외무역발전협회)와 타이베이컴퓨터협회(TCA)가 매년 개최하는 동북아시아 최대 규모 IT 전시회, '컴퓨텍스 타이베이 2023'(이하 컴퓨텍스 2023)가 오는 30일부터 6월 2일까지 4일간 일정으로 개최된다(이하 현지시간).

코로나19 범유행 이전 마지막으로 열린 컴퓨텍스 2019 행사에는 30개 나라에서 총 1천685개 업체가 전시에 참여했다. 또 171개 나라에서 4만3천여 명이 행사장을 찾아 관람했다.

컴퓨텍스 타이베이 2023이 다음 주부터 4일간 개막한다. (사진=타이트라)

올해 행사는 타이베이 시 동남쪽에 위치한 난강전람관 1/2홀에서 열린다. 공식 개막 하루 전인 29일부터 영국 반도체 설계 IP(지적재산권) 기업인 ARM의 신제품 출시 간담회,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기조연설 등이 진행된다.

■ 동북아 최대 규모 ICT 전시회, 코로나19로 3년간 파행

컴퓨텍스는 과거 인텔, AMD, 엔비디아 등 PC 프로세서·그래픽카드 제조사와 기가바이트, MSI, 에이서, 에이수스 등 대만 소재 PC 제조사와 관련 업체만 참가하는 PC 특화 전시회였다.

2010년대 이후에는 퀄컴과 ARM, NXP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가 대거 참가하며 행사의 성격도 변화했다. 특히 동북아시아나 동남아시아에서 비행 시간 4시간 만에 도착할 수 있고 시차가 거의 없다는 대만의 특성이 많은 관람객을 모았다.

컴퓨텍스 2019 난강전람관. (사진=타이트라)

그러나 컴퓨텍스는 코로나19 범유행 속에 3년간 파행을 거듭했다. 2020년 행사는 한 차례 연기 끝에 취소되었다. 2021년에도 나라마다 다른 백신 접종 속도와 국경 통제 등에 따라 온라인으로만 진행됐다.

■ 지난 해 4분기 이후 각종 입국 제한 등 완화

지난 해 행사는 타이베이 난강전람관과 온라인에서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진행됐다. 단 대만이 해외 입국자 대상으로 비자와 7일간 의무격리를 요구하면서 해외 업체 관계자와 관람객이 쉽게 참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

그 결과 총 17개 나라 400개 회사가 전시에 참여했으며 관람객 역시 63개 나라 1만여 명으로 컴퓨텍스 2019 대비 1/4 규모로 축소됐다.

컴퓨텍스 2022 행사는 대만 업체 관계자들만 참석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사진=TAITRA)

그러나 지난 해 9월 말부터 한국을 포함한 65개 나라의 무비자 입국이 부활했고 대만 질병관제서(TCDC)도 해외 입국자 대상 방역 정책을 완화했다. 현지 업체 관계자들은 "2019년과 거의 같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ARM, 29일 오전 신제품 발표...뒤이어 엔비디아 기조연설

올해 컴퓨텍스는 30일부터 개막한다. 그러나 영국 반도체 설계 IP 기업인 ARM은 하루 전인 29일 오전 8시부터 신제품 기자간담회로 첫 행사를 장식한다. 이날 자체 설계 IP를 바탕으로 한 신제품 등이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2일 컴퓨텍스 온라인 토크에서 DGX A100을 소개하는 젠슨황 엔비디아 CEO. (사진=유튜브 캡처)

이후 11시부터는 젠슨황 엔비디아 CEO가 키노트를 통해 AI 관련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같은 날 오후 2시에는 르네 하스 ARM CEO가 기조연설을 진행한다.

엔비디아는 기조 연설 이후 행사 기간 중 각 나라 기자들 대상으로 집단 인터뷰를 진행한다. 또 타이베이 시내에서 제품 시연과 설명을 겸한 브리핑 세션도 진행한다.

■ 퀄컴, '오라이온' CPU 진척사항 공개할까

퀄컴은 매년 컴퓨텍스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운영체제를 구동할 수 있는 스냅드래곤 컴퓨트와 와이파이 기술을 시연했다. 또 지난 해 11월 미국 하와이에서 진행된 기술 행사 '스냅드래곤 서밋'에서는 자체 개발 CPU '오라이온' 개발을 선언했다.

케다르 콘답 퀄컴 컴퓨트/게이밍 부문 본부장(수석부사장). (사진=공동취재단)

30일 오전 11시에는 알렉스 카투지안 모바일·컴퓨트·XR 부문 본부장(수석부사장)과 케다르 콘답 컴퓨트·게이밍 부문 본부장(수석부사장) 등 핵심 인사가 진행하는 기조연설이 예정되어 있다. 이 행사를 통해 오라이온 CPU의 진척 상황 등이 공개될 전망이다.

컴퓨텍스 2019에서 라이젠 9 3900X 프로세서를 공개하는 AMD 리사 수 CEO. (사진=지디넷코리아)

반면 과거 4년간 빠짐없이 컴퓨텍스 기조연설에 참여했던 리사 수 AMD CEO는 올해 불참했다. 주요 그래픽카드 제조사가 최근 공개된 라데온 RX 7600 기반 그래픽카드 등을 전시하는 선에서 그칠 것으로 보인다.

■ 국내 PC 업체도 4년만에 출전 예정

이번 행사에는 4년 만에 한미마이크로닉스, 잘만테크 등 국내 PC 관련 업체도 참여할 예정이다. 한미마이크로닉스 관계자는 26일 "글로벌 브랜드 '위즈맥스' PC 주변기기와 자체 개발 게임용 주변기기, 냉각장치 등을 전시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시놀로지는 컴퓨텍스 2023 기간 중 'POPOP 타이베이'에서 별도 제품 전시회를 진행한다. 사진은 POPOP 타이베이 전경.

NAS(네트워크 저장장치) 제조사인 시놀로지는 컴퓨텍스 기간 중 타이베이 시내 별도 장소에서 개인용·기업용 저장장치, 영상감시 솔루션 신제품과 최근 공개된 NAS용 운영체제인 'DSM 7.2' 등을 시연할 예정이다.

권봉석 기자(bskwon@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