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머pick] '연 100만 건' 비응급 출동…황당 신고에 목숨 잃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 가정집에 급히 출동한 119대원이 들은 요청.
다급하게 출동했다가 그냥 돌아오는 일이 다반사입니다.
119법 시행령에 따라 비응급 환자는 출동 요청을 거절할 수 있지만, 환자를 보지 않고 판단하기 어렵고, 민원 문제도 있으니 경중을 따져서 출동한다는 건 사실 불가능합니다.
재작년 기준 병원에 갈 필요조차 없었던 119 출동 건수는 1백만 건이 넘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 가정집에 급히 출동한 119대원이 들은 요청.
'앉혀달라'입니다.
[신고자 : 여기 좀 앉혀만 주셨으면 좋겠는데, 의자에.]
[119구급대원 : 앉혀만 달라고요?]
다리에 상처 났다는 신고를 받고 갔더니,
[119구급대원 : 출혈이 지속하는 것도 아니고….]
[환자 : 그렇죠?]
다급하게 출동했다가 그냥 돌아오는 일이 다반사입니다.
[환자 : 음주인데 넘어진 건 맞고 확실한데요. 괜찮으니까 들어가셔도 좋습니다.]
119법 시행령에 따라 비응급 환자는 출동 요청을 거절할 수 있지만, 환자를 보지 않고 판단하기 어렵고, 민원 문제도 있으니 경중을 따져서 출동한다는 건 사실 불가능합니다.
재작년 기준 병원에 갈 필요조차 없었던 119 출동 건수는 1백만 건이 넘습니다.
전체의 3분의 1쯤입니다.
이런 출동에 헛심을 쓰다보면 촌각을 다투는 응급환자의 이송에 쓸 시간이 적어지는 겁니다.
'응급체계의 혈관'인 119구급대의 과부하를 조금이라도 줄이려면 비응급 환자들의 신고는 넘쳐나고, 가용 응급 병상은 부족한 이 엇박자를 빨리 풀어야 합니다.
( 취재 : 박재현, 구성 : 김도균, 편집 : 김남우, 제작 : 디지털뉴스기획부 )
김도균 기자getset@sbs.co.kr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스브스夜] '그알' 캄보디아 병원에서 일어난 '한국인들의 의문사'…서세원 사망 사건 '진실 추적
- 비행기 문 연 30대 입 열었다…"답답해 내리고 싶어서"
- "전에도 맞았다" 신고했는데…"앙심 품고 범행"
- 약과에 불상 굿즈까지…2030은 지금 '복고 열풍'
- 칸에 간 중국 영화 2편…정작 본토에선 '외면'
- [스페셜리스트] 임윤찬이 친 그 곡의 작곡가는? 라흐마니노프 탄생 150주년
- 장마도 아닌데…연휴 내내 비 소식, 언제 그치나?
- [D리포트] "바이든 축하 연설 중에…" 백악관에서 기절한 농구 선수
- 누리호 어떻게 됐냐고요? 이코노미에서 퍼스트클래스 타게 해준 누리호의 모든 것
- [Pick] 영국 국왕도 탄복한 한국 작가…'꿈의 무대'서 금상 쾌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