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일 하루 앞두고 제삿날 될뻔"…비행기 비상구 범인 제압한 `빨간바지 승객`

김성준 2023. 5. 27. 1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6일 대구공항 착륙 직전 비상구를 열어 승객들을 죽음의 공포에 몰아 놓았던 30대 범인을 제지한 빨간 바지 승객은 행정안전부 산하 국민안전재난총연합회 제주본부 상임부회장 이윤준(48)씨라고 연합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안전교육을 위해 제주도 출장 뒤 생일을 하루 앞두고 대구로 복귀하기 위해 제주에서 대구발 아시아나 비행기를 탑승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윤준씨 제주서 대구 오는 중..승무원 눈빛 신호에 범인 잡아
범인 벨트 푸는 소리에 앉은 채로 범인 왼팔로 목덜리 낚아채
항공기 비상구를 연 범인을 제압한 이윤준(사진 속 빨간 바지)씨가 문이 열린 채 운항 중인 아시아나 항공기 안에 앉아 있다. <연합뉴스 제공>

지난 26일 대구공항 착륙 직전 비상구를 열어 승객들을 죽음의 공포에 몰아 놓았던 30대 범인을 제지한 빨간 바지 승객은 행정안전부 산하 국민안전재난총연합회 제주본부 상임부회장 이윤준(48)씨라고 연합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안전교육을 위해 제주도 출장 뒤 생일을 하루 앞두고 대구로 복귀하기 위해 제주에서 대구발 아시아나 비행기를 탑승했다. 그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빨간 바지를 입은 남성으로 지상 250m 상공에서 비행기의 비상구를 연 30대 남자를 끝까지 제지한 승객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은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갑자기 모자랑 헤드셋이 날아가길래 고개를 들어 보니 문이 열려 있었고, 생일 하루 전날이 제삿날이 될 뻔 했다"고 놀란 가슴을 쓸어 내렸다.

그는 "사건 당시 휴대전화 사진들을 보고 있어서 직접 문을 여는 건 보지 못했는데, 비행 동안 (범인이) 자꾸 저와 눈이 마주치고 두리번 거렸다"고 소회했다. 그러면서 "대구공항에 다 왔는데 (공중에서) 문이 열렸고, (옆 자리에 앉아있떤) 그 친구가 저를 보면서 웃으면서도 겁이 나는 섬뜩한 표전을 지었다"고 말했다.

이씨는 "대각선 방향에 앉은 승무원을 보니 나에게 무언가 지시를 하려는 눈빛이었다"라며 "승무원이 계속 눈빛으로 무언가 간절한 신호를 줬다"라고 이어갔다.

비행기 바퀴가 활주로에 닿으면 옆에서 갑자기 '탁'하며 벨트 풀리는 소리가 들렸는데, 범인이 안전벨트를 풀고 벌떡 일어난 것이다. 그러자 눈빛을 보냈던 승무원이 "도와주세요"라고 외쳤고, 이씨는 왼팔을 뻗쳐 범인의 목덜미를 낚아챈 후 제압했다. 이어 승무원 서너명이 달려왔고, 승객들도 함께 범인을 비행기 안쪽 복도로 끌고 갔다. 당시 비행기는 착륙 이후 활주로를 달리고 있었던 아찔한 순간이었다.

이씨는 "당시에는 문이 열리는 걸 제대로 본 사람이 없어서 그 친구가 범인이라고 생각을 못 하고, 겁을 먹어서 뛰어 내리려고 했다고 착각했다"라며 "뒤에 앉은 초등학생들이 울고 있었다. 그야말로 패닉이었다"라고 전했다.

그는 "추가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건 상황을 정리한 승무원들 덕분"이라며 "특히 저한테 계속 눈으로 사인을 주신 승무원분은 끝까지 침착하게 행동하셨다"고 승무원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의 카카오톡 상태 메시지는 '멋진 사내'라고 적혀있다.

한편 대구 동부경찰서는 항공보안법 위반 혐의로 범인 이 모(33) 씨를 긴급 체포해 이틀째 조사 중이며, "답답해 빨리 내리고 싶어 문을 열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추가 수사를 마치는 대로 A씨에 대한 구속 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다. 김성준기자 illust76@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