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궤도 이상무”
누리호 탑재된 도요샛 등 8기 중 6기 ‘생존’ 수신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다. 이는 위성이 누리호에서 잘 분리돼 본격적인 임무 수행에 들어갈 준비가 됐다는 뜻이다.
누리호 3차 발사에서 발사체 이륙, 비행, 위성 사출, 주탑재 위성 작동에 모두 성공하면서 한국은 실용위성 자체 발사에 성공한 국가가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5일 오후 6시24분 누리호에 실려 발사된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목표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데 이어 카이스트(KAIST) 인공위성연구소 지상국과의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발사 당일인 지난 25일 오후 7시7분쯤 남극 세종기지에서 차세대 소형위성 2호에서 나오는 위성 신호를 처음으로 수신했고, 오후 7시58분쯤 대전 지상국을 통한 초기 교신도 이뤄졌다. 이날 새벽 대전과 해외 지상국을 통해서도 7차례 추가 교신이 있었다.
이날 교신을 통해서는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태양을 잘 볼 수 있는 자세로 자리 잡았는지 등이 점검됐다. 또 위성의 통신계 송수신 기능, 명령·데이터처리계 기능, 전력계 태양전지판의 전력생성 기능 등이 모두 정상이라는 사실도 확인했다고 과기정통부는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악천후와 야간에도 지상을 훤히 관측할 수 있도록 고안된 차세대 소형위성 2호의 탑재 장비인 ‘영상레이더(SAR)’ 안테나를 전개하는 한편 위성 자세도 안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해 누리호에 실었던 ‘도요샛’에 대해선 각 위성별로 순차적으로 교신을 시도하고 있다. 도요샛은 4기로 이뤄진 군집 위성이다.
1호기(가람)에선 지난 25일 오후 8시3분쯤 위성신호가 수신됐다. 2호기(나래)에선 이날 오전 6시40분쯤 위성신호 수신과 양방향 교신까지 이뤄졌다.
4호기(라온)도 이날 오후 6시30분쯤 신호가 확인됐다. 3호기(다솔)를 대상으로는 향후 지속적으로 위성신호 수신과 교신을 시도할 예정이다.
특히 도요샛 3호기의 경우 누리호에 달린 카메라로는 우주로 정상 사출됐는지가 확인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와 별개로 누리호에 실렸던 초소형위성 가운데 국내기업이 만든 3기 중 2기는 신호 수신을 통해 위성의 위치가 확인됐다. 나머지 1기에 대해서도 위성신호 수신과 교신 시도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누리호 탑재 ‘꼬마 위성’ 1기 길 잃었나…“교신 시도 중”
- [단독]SKT 유심 해킹, ‘이반티 VPN 취약점’ 노린 중국 해커그룹 소행 가능성
- ‘빗장’ 풀린 윤석열 부부 강제수사···압수수색 이후, 검·경·공 칼끝 어디까지
- “윤석열, 계엄 전에 ‘반국가세력’ 언급하며 경향신문·한동훈 등 특정했다”…곽종근 증언
- 윤 사저 앞 유튜버·지지자들 “윤석열 지켜라”“재명이 내일 끝났다” 압수수색에 아수라장
- 윤여준·이석연·정은경에 임종석까지 합류···이재명 ‘통합’ 선대위 출범
- [단독]경찰, ‘명태균 게이트’ 홍준표 수사 본격화···5월8일 미한연 소장 소환
- 이해진·이재현·서정진···트럼프 주니어 ‘일 대 일 면담’에 총수 20명 줄섰다
- 한덕수 중·고교 동창 유인태 “메시아는 개뿔···대선 출마에 윤석열 그림자”
- ‘부정선거 음모론’ 당하니 ‘발끈’···국힘 “경선 부정 의혹? 명백한 허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