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용 "좋은 브랜드, 감각있는 한 사람·의식있는 자본이 만날 때 탄생"

공태윤 2023. 5. 26. 18: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좋은 브랜드는 감각 있는 한 사람과 의식 있는 자본가가 만날 때 태어납니다."

최근 열린 '2023 한국디자인학회 봄 학술대회'에서 강연을 한 조수용 매거진B 발행인(전 카카오 공동대표·사진)은 수많은 좋은 브랜드의 탄생을 보면서 얻은 생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모든 브랜드는 감각을 가진 한 사람에서 시작하는데, 감각이란 그 브랜드를 통해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아는 것과 세상 사람은 무엇을 원하는지를 아는 균형감각"이라는 설명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Zoom In
카카오 대표 지낸 조수용 매거진B 발행인
자신이 만든 브랜드 없어졌을때
슬퍼할 사람 있는지 생각해보라
매달 하나의 브랜드 집중 해부
12년전 만든 잡지가 지금도 팔려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대회' 강연

“좋은 브랜드는 감각 있는 한 사람과 의식 있는 자본가가 만날 때 태어납니다.”

최근 열린 ‘2023 한국디자인학회 봄 학술대회’에서 강연을 한 조수용 매거진B 발행인(전 카카오 공동대표·사진)은 수많은 좋은 브랜드의 탄생을 보면서 얻은 생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대학에서 산업디자인을 공부한 조 발행인은 이날 강연에서 ‘매거진B 12년 동안 배운 것들’이란 주제로 디자인학회 후배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조 발행인은 강연에 앞서 네이버에 입사하게 된 이야기도 들려줬다. 그는 “디자인이 좋아서 디자인 공부를 했는데, 큰 조직 안에서 수동적인 디자인 역할의 한계를 넘고 싶어 네이버에서 마케팅, 기획까지 맡아서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네이버에서 디자인, 마케팅 총괄 본부장까지 지냈다. 2010년 네이버를 나온 뒤 매거진B를 창업했다. 그는 “디자인 고민의 끝은 브랜드이고, 한 번 보고 버리는 것이 아닌, 소유하고 보관하는 브랜드 잡지를 만들고 싶었다”고 창간 배경을 설명했다. 매거진B는 매달 하나의 브랜드를 집중 해부하는 월간지다. 지금까지 광고 없이 책으로만 수익을 올리고 있다. 조 발행인은 “12년 전에 발간한 잡지가 지금도 팔릴 정도”라며 매거진B가 가진 매력을 설명했다. 매거진B는 지금까지 모두 94권을 발간했다.

조 발행인은 이날 강연에서 그동안 잡지를 만들면서 얻은 인사이트를 10가지로 요약했다. 그는 “매거진B를 만들면서 얻은 첫 번째 통찰력이 ‘모두에게 좋은 브랜드는 없다’였다”고 했다. 모든 사람이 좋아하는 브랜드는 없고 좋은 브랜드라고 알려진 것도 싫어하는 사람이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좋은 브랜드 이전에 왜 우리 회사가 존재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먼저 질문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것은 ‘한 사람의 감각’이라고 했다. “모든 브랜드는 감각을 가진 한 사람에서 시작하는데, 감각이란 그 브랜드를 통해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아는 것과 세상 사람은 무엇을 원하는지를 아는 균형감각”이라는 설명이다. 조 발행인은 “좋은 브랜드는 감각 있는 사람이 시작하지만 돈을 가진 자본이 결국 만든다”며 “오너의 그릇을 가진 의식 있는 자본을 만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발행인은 근본적인 질문도 던졌다. “자신이 만든 브랜드가 없어졌을 때 슬퍼하는 사람이 있을까를 생각해 봐야 한다”는 것. 이 밖에 ‘의식있는 소수의 중요성’ ‘로고나 라벨은 중요하다’ ‘역사는 중요하지 않다’ 등을 강연에서 강조했다.

강연 후 질의응답 시간에 ‘357억 연봉킹’과 관련한 질문이 나오자 그는 “카카오 대표 임기를 마치고 스톡옵션을 행사한 것인데 엄밀히 말하면 연봉이라고 하기에는 좀 그렇지 않냐”고 했다. 또 서울시의 슬로건 디자인 선정에 대해서는 “이것이 이 나라의 현실인 것 같아 우울했다”며 “디자인 감각이 있는 여러분이 결정권 있는 국가기관에 많이 들어가면 나중에는 달라지지 않겠냐”고 답했다. 앞서 서울시는 공개한 새 슬로건 디자인에 대한 시민 반발이 이어지자 재공모에 나섰다.

공태윤 기자 trues@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