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뇌에 칩 이식"…머스크의 꿈 이뤄지나

노유정 2023. 5. 26. 17: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사진)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미국에서 인간의 뇌에 칩을 이식하기 위한 인간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이날 FDA 승인으로 뉴럴링크는 지원자의 뇌에 칩을 이식해 기능을 테스트하는 임상시험을 할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다.

CNBC는 "지금까지 FDA의 최종 승인을 받은 뇌 이식 기업은 없었다"며 "뉴럴링크가 인간 임상시험 승인을 받으며 기술 상용화에 한 걸음 다가갔다"고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럴링크, 美서 임상 승인받아
동물 이어 인간 대상으로 시험
생각만으로 사물·기기 조종
성공땐 파킨슨병 환자 등 수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사진)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미국에서 인간의 뇌에 칩을 이식하기 위한 인간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사람의 뇌에 칩을 심어 생각만으로 각종 기기를 작동시키고, 중증 마비 환자도 움직일 수 있게 하겠다는 공상과학(SF) 소설 같은 구상이 한 걸음 더 가까워졌다는 평가다.

25일(현지시간) 뉴럴링크는 트위터를 통해 “우리의 첫 인간 임상시험을 위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뉴럴링크는 “우리의 기술이 언젠가 많은 사람을 도울 것”이라며 “(임상시험 승인은) 중요한 첫 단계”라고 자축했다.

머스크가 2016년 설립한 뉴럴링크는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칩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인간의 뇌에 컴퓨터 칩을 이식해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등에 걸린 환자들도 신경 신호만으로 몸과 외부 기기를 움직여 일상생활을 영유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는 정보처리 및 기억 능력 등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다. 뉴럴링크는 2020년 뇌에 칩을 이식한 채 생활하는 돼지를, 2021년에는 칩을 이식한 원숭이가 조이스틱 조작 없이 생각만으로 비디오 게임을 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다만 인간을 대상으로 시험해보진 못했다. 머스크는 수년간 인간의 뇌에 칩을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위해 FDA 심사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해왔다. 지난해에는 칩이 안전하다며 자신과 자신의 아이들에게도 이식할 수 있다고 말해 화제가 됐다. 그러나 미 연방당국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FDA는 지난 3월까지 뉴럴링크 칩의 인체 유해성, 장치 제거 시 뇌 손상 가능성 등을 우려해 인체 임상시험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FDA 승인으로 뉴럴링크는 지원자의 뇌에 칩을 이식해 기능을 테스트하는 임상시험을 할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다. 마비 증세를 보이는 환자들이 임상시험 대상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칩을 이식한 지원자들은 뉴럴링크 앱 또는 블루투스 연결 등을 통해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제어할 수 있을지 시험하게 될 전망이다. CNBC는 “지금까지 FDA의 최종 승인을 받은 뇌 이식 기업은 없었다”며 “뉴럴링크가 인간 임상시험 승인을 받으며 기술 상용화에 한 걸음 다가갔다”고 보도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