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불우한 소녀가 '탄소 여왕' 되기까지

구은서 2023. 5. 26. 17: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간 <카본 퀸> 은 '탄소의 여왕'으로 불리는 과학자 밀드레드 드레셀하우스(애칭 '밀리'·1930~2017)의 삶과 업적을 다뤘다.

밀리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최초의 여성 종신교수이자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으로부터 훈장을 받은 나노과학의 선구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카본 퀸
마이아 와인스톡 지음 / 김희봉 옮김
플루토 / 328쪽│1만9000원

신간 <카본 퀸>은 ‘탄소의 여왕’으로 불리는 과학자 밀드레드 드레셀하우스(애칭 ‘밀리’·1930~2017)의 삶과 업적을 다뤘다. 밀리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최초의 여성 종신교수이자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으로부터 훈장을 받은 나노과학의 선구자다.

책의 저자는 마이아 와인스톡 MIT 뉴스 부편집장이다. 그는 밀리가 어떻게 ‘탄소의 여왕’ 자리에 올랐는지를 친절하게 알려준다. 밀리는 탄소 원자와 입체 구조에 대해 연구했고, ‘탄소 나노튜브’라고 부르는 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녀의 연구는 나노 물질 연구에 획기적 발전을 가져왔다. 오늘날 배터리, 수소 저장 용기, 태양전지 등이 그녀의 연구에 빚을 지고 있다.

탄소는 무궁무진한 물질이다. 원자 결합 형태에 따라 연필심이 되기도 하고 다이아몬드가 되기도 한다. 생명의 근원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다. 탄소는 지구상 살아 있는 모든 유기체에 존재하는 몇 안 되는 원소 가운데 하나다.

그녀의 삶이 순탄했다면 생애를 설명하는 데 한 권의 책이 필요했을 리 없다. 대공황 시기에 어린 시절을 보낸 그녀는 여덟 살 때부터 돈을 벌어야 했다. 그녀는 훗날 이렇게 말했다. “나에게 가장 큰 도전은 살아남는 거였어요.”

주변의 여러 환경이 밀리에게서 야망을 앗아갔지만 선배이자 스승인 로절린 서스먼 얠로(미국 여성 최초로 노벨상 수상)의 도움으로 꿈을 키운다. 물론 쉽지 않았다. 코넬대에서는 강의료 없이 전자기학을 가르치겠다고 했는데도 허락이 떨어지기까지 1주일이 걸렸다. “교수들은 내가 전자기학을 가르칠 자격이 있는지가 아니라 남학생들이 나에게 배우려고 할지를 걱정했고 (생략) 젊은 여성이 젊은 남학생을 가르친다는 걸 이해하기 힘들어했어요.” 그는 우여곡절 끝에 MIT에서 일하면서 탄소 연구에 본격적으로 빠져들었다.

어린 밀리가 마리 퀴리의 전기를 읽으며 과학자를 꿈꿨듯이, 과학자를 꿈꾸는 아이들은 <카본 퀸>을 읽을 것이다. 저자는 책 마지막에 자신의 아이를 향해 이렇게 썼다. “밀리의 이야기는 너의 이야기이기도 해.”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