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 온 더위에 식중독 신고 급증…샐러드·달걀 취급 주의하세요

김윤주 2023. 5. 26. 13: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기온 상승으로 세균성 식중독 신고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1월∼4월 접수된 식중독 의심 신고는 모두 198건으로, 현재 원인을 조사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식약처는 특히 "최근 5년 같은 기간에 견줘 병원성 대장균,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등 세균성 식중독균에 의한 신고가 증가하고 있다 "고 했다.

2018∼2022년 5년간 1∼4월 발생한 세균성 식중독 의심 신고는 해마다 평균 12건이나, 올해 들어선 21건에 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월까지 식중독 의심 신고 198건
4월24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연구원들이 식중독균 배양분리작업을 하고 있다. 경기도는 올해 1분기(1~3월) 식중독 의심 환자가 355명(30건) 발생했다며 높은 기온 속 식중독 주의를 당부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79명(4건)의 4.5배다. 연합뉴스

최근 기온 상승으로 세균성 식중독 신고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1월∼4월 접수된 식중독 의심 신고는 모두 198건으로, 현재 원인을 조사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식약처는 특히 “최근 5년 같은 기간에 견줘 병원성 대장균,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등 세균성 식중독균에 의한 신고가 증가하고 있다 ”고 했다. 2018∼2022년 5년간 1∼4월 발생한 세균성 식중독 의심 신고는 해마다 평균 12건이나, 올해 들어선 21건에 달했다.

식약처는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원인 식품이 확인된 사례 가운데 부주의하게 조리·제조된 샐러드나 겉절이 등 익히지 않은 채소류가 많았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날것으로 섭취하는 채소류는 세척 뒤 냉장보관 하거나 바로 섭취하고, 대량으로 조리하는 경우에는 염소계 소독제에 5분가량 담갔다 2~3회 이상 흐르는 수돗물에 헹구라고 당부했다.

식약처는 또 살모넬라에 의한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달걀, 닭 등 가금류를 취급한 뒤엔 비누 등 세정제로 손을 씻고 조리하고, 조리할 땐 중심 온도 75도에서 1분 이상 가열한 뒤 섭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제육볶음, 갈비찜 등을 대량으로 조리하고 그대로 실온에 방치하면 퍼프린젠스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어, 가열조리 뒤 작게 나눠 빠르게 식힌 뒤 냉장 보관하는 등 실온에 방치하지 않아야 한다.

식약처는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더울 것이라는 기상 예보에 따라 세균성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한다”며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도 여전히 유행하고 있으므로 비누 등 세정제로 손 씻기, 익혀 먹기 등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