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리, 왜 정신 치유에 도움줄까?

김수현 2023. 5. 26. 13: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소리를 듣는 것만으로도 우울증이나 불안 등 정신건강에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지난 18일 보도했다.

킹스칼리지런던의 정신의학, 심리학 및 신경과학 연구소가 1300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스마트폰을 통해서 하루 3번씩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정서에 대해서 기록하도록 요구한 결과, 새를 보거나 새소리를 들은 사람들이 긍정적인 정신건강을 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울한 감정도 변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새소리를 듣는 것만으로도 우울증이나 불안 등 정신건강에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지난 18일 보도했다.

킹스칼리지런던의 정신의학, 심리학 및 신경과학 연구소가 1300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스마트폰을 통해서 하루 3번씩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정서에 대해서 기록하도록 요구한 결과, 새를 보거나 새소리를 들은 사람들이 긍정적인 정신건강을 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한 사람뿐만 아니라 우울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도 유효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다른 연구는 295명의 참여자들에게 무작위로 헤드폰을 통해 6분짜리 새소리 오디오 클립 또는 교통소음 오디오 클립을 들려준 다음 정서 상태를 보고하게 했다. 그 결과, 새소리를 들은 참여자들이 불안과 우울감 및 편집증 등이 현격히 줄어들었음을 발견했다. 반면 교통소음을 들은 참여자들의 우울감은 더욱 악화됐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연구진은 자연의 치유적 효과를 증명하는 반면, 도시 환경은 정신건강에 긍정적이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특히 새소리는 우리가 자연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느끼게 해주기 때문에 치유적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새소리가 뇌에 직접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전 연구들에서 자연 속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혈압과 코르티솔 분비를 낮춘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이에 따라 새소리를 듣기 위해 밖으로 나가서 자연 속을 걷게 된다면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 유익할 것이라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다.

김수현 기자 (ksm78@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