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상승으로 ‘세균성 식중독’ 늘어…“이렇게 예방하세요”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2023. 5. 26. 10: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기온 상승으로 세균성 식중독 발생이 증가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식약처는 "올 여름은 평년보다 더울 것이라는 기상 예보에 따라 세균성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한다"면서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도 여전히 유행 추세여서 비누 등 세정제로 손 씻기, 익혀먹기 등 식중독 예방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기온 상승으로 세균성 식중독 발생이 증가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올 1월부터 4월까지 접수된 식중독 의심 신고는 총 198건으로, 최근 5년(2018~2022년) 같은 기간보다 병원성대장균,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등 세균성 식중독균에 의한 신고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성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사례를 보면, 샐러드·겉절이 등 익히지 않은 채소류 조리 음식이 많았다. 병원성대장균에 의한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날 것으로 섭취하는 채소류는 가능한 바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대량으로 조리하는 경우에는 염소계 소독제(100ppm)에 5분가량 담갔다가 2~3회 이상 흐르는 수돗물에 헹궈서 제공하는 것이 좋다.

살모넬라에 의한 식중독은 주로 달걀을 만진 뒤 손을 씻지 않고 음식을 조리하거나 다른 조리 기구를 만져 생기는 교차 오염으로 인해 발생했다. 따라서 달걀, 닭 등 가금류를 취급한 뒤에는 반드시 비누 등 세정제로 손을 씻은 후 조리해야 한다. 조리 시에는 중심 온도 75℃에서 1분 이상 가열 후 섭취해야 한다.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은 씻지 않은 맨손으로 조리한 음식을 실온에 방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시에는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는 등 청결한 환경에서 조리하고, 조리 후에는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퍼프린젠스균에 의한 식중독은 제육볶음, 갈비찜 등을 대량으로 조리하고 그대로 실온에 방치하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조리 후 제공 전까지 가온 보관하거나 소분해 빠르게 식힌 후 냉장 보관하는 등 실온에 방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약처는 “올 여름은 평년보다 더울 것이라는 기상 예보에 따라 세균성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한다”면서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도 여전히 유행 추세여서 비누 등 세정제로 손 씻기, 익혀먹기 등 식중독 예방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식중독 예방 6대 수칙
1.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 씻기

2. 육류, 달걀류 등 조리 시 중심온도 75℃에서 1분 이상 익혀먹기

3. 지하수는 끓여 마시기

4. 식재료, 조리기구는 깨끗이 세척하고 소독하기

5. 날음식과 조리음식은 칼, 도마 구분 사용하기

6. 냉장식품은 5℃ 이하, 냉동식품은 –18℃ 이하에서 보관하기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