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

김정은 2023. 5. 26. 07: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與, 빗썸·업비트 관계자 불러 김남국 '자금세탁 의혹' 조사

국민의힘은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을 활용한 '자금 세탁' 의혹을 파헤치기 위해 26일 김 의원이 이용한 코인 거래소 빗썸·업비트에 대해 조사를 벌인다.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제3차 전체회의를 열고 빗썸 이재원 대표와 업비트 김영빈 법률책임자(CLO)를 불러 비공개로 현안 보고를 받는다. 조사단 간사를 맡은 윤창현 의원은 "김남국 의원의 자금 세탁 의혹 등과 관련해 업계 이야기를 들어보고 관련 사실을 확인하려 한다"고 말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5176200001

비어있는 본회의장 김남국 의원석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국회 본회의가 열린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의 무소속 김남국 의원석이 비어 있다. 2023.5.25 toadboy@yna.co.kr

■ 돈봉투 수사 예견했나…검찰 '선제 증거인멸' 정황 포착

검찰이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핵심 피의자들이 수사가 본격화하기 이전부터 조직적인 증거인멸에 나선 것으로 보이는 정황을 포착하고 구체적인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김영철 부장검사)는 이달 24일 무소속 윤관석(63) 의원의 구속영장 청구서에 압수수색 직전 휴대전화를 교체한 점을 증거인멸 정황으로 기재했다. 검찰은 지난달 12일 윤 의원의 주거지 등 20여곳을 대대적으로 압수수색하며 돈봉투 수사를 공식 개시했는데, 당시 검찰이 확보한 윤 의원 휴대전화는 직전에 교체해 메시지 등이 저장되지 않은 이른바 '깡통폰'이었다고 한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5185000004

■ 민주, 광화문 광장서 日오염수 투기 반대 서명운동 발대식

더불어민주당은 2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투기와 수산물 수입을 반대하는 국민 서명운동 발대식을 연다. 당 사무처 주관으로 열리는 행사에는 이재명 대표 등 지도부가 함께한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 무용론을 제기한 데 이어 정부의 대일 외교에 대한 비판 여론을 확산시키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된 행사로 보인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5186800001

■ 이혼한 배우자 국민연금 나눠 가진 수급자 7만명 육박

이혼하고서 배우자(전 남편 또는 아내)의 국민연금을 나눠 갖는 수급자가 매년 늘어 7만명에 육박했다. 26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이른바 '분할연금'을 청구해서 받는 수급자는 2023년 1월 현재 6만9천437명에 달했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6만1천507명(88.6%), 남성 7천930명(11.4%)이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5072900518

■ 이른 여름 대비…정부, 전력수급 대책기간 6월말로 앞당겨

정부가 이른 더위 가능성에 대비해 여름 전력수급 대책 기간을 당겨 운영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서울 석탄회관에서 전력거래소, 한국전력 등 유관 기관과 함께 '여름철 전력수급 준비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6월 26일부터 '여름 전력수급 대책 기간'을 운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작년 7월 4일부터 여름 대책 기간을 운영했는데, 올해는 6월 마지막 주로 앞당겼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5166900003

■ '슈퍼 태풍' 강타한 괌, 물·전기 끊겨 고통…인명피해는 없는듯

4등급 '슈퍼 태풍'이 강타한 태평양의 미국령 괌은 26일(현지시간) 태풍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났지만, 강풍과 폭우로 인한 단전·단수가 이어져 현지인과 관광객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시속 240km가 넘는 강풍에 주차돼 있던 트럭이 뒤집히고, 지붕에 설치된 양철판이 거리에서 마구 날아다녀 상당한 인명피해가 우려됐지만 다행히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나 중상자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루 레온 게레로 괌 주지사실은 이날 슈퍼 태풍 마와르와 관련, 이번 태풍으로 인한 사망자나 심각한 부상자는 없으며, 경미하게 다친 사례만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고 밝혔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6002800075

■ 美 사상 첫 디폴트 D-7…협상 "생산적"·"진전" 막판타결 기대감

미국 연방정부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 시점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백악관과 공화당의 부채한도 상향 협상이 일부 진전을 보이는 것으로 25일(현지시간) 알려졌다. 백악관은 협상이 생산적이라면서 디폴트는 없을 것이라고 재차 단언했고, 공화당 측도 진전을 언급해 막판 타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미 재무부는 부채한도를 상향하지 않으면 이르면 연방정부가 내달 1일 디폴트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고, 경제기관들도 내달 15일 이전에 디폴트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6003500071

■ 질병청장 "코로나 교훈…진단 강점 살리고 백신개발은 신속하게"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25일(현지시간) 3년4개월 만에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선언이 내려진 코로나19 대응 과정에 대해 "신속한 진단 체계로 대유행 초반 위기를 견딜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지 청장은 이날 스위스의 주제네바 한국대표부 회의실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통해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의 경험을 토대로 진단키트에 대한 긴급사용승인을 했고 이는 감염 확산을 막는 데 기여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일일 확진자가 62만명에 이를 정도의 대유행이 될 것이라는 예상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응 인력이나 의료 시스템이 충분하지 않았던 건 풀어야 할 숙제"라며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못 냈던 점도 되새길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5191100088

■ 美 "NCG, 한미간 핵위협 논의를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

미국 국방부 고위인사는 25일(현지시간) 한미가 신설키로 한 확장억제 협의체 '핵협의그룹(NCG)'과 관련, "한미간 핵 위협 및 핵 시나리오에 대한 논의를, (상황) 평가를 공유하고 다양한 비상 상황(contingency)에 대한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할 수 있는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싯다르트 모한다스 미국 국방부 동아시아 부차관보는 이날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개최한 세미나에서 NCG 신설이 포함된 워싱턴선언을 거론하며 "한반도에서 핵사용 시나리오가 발생할 경우 최고위급에서 한국과 협의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란 내용이 들어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국은 가장 가까운 동맹국 가운데 하나이며 핵 사용 관련된 문제는 한 국가가 직면할 수 있는 가장 중대한 안보 문제"라면서 "이것(NCG)은 동맹국을 동맹국처럼 대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문제 해결을 위해 더 많은 것을 함께하는 좀 더 동등한 동맹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6005300071

■ 전국 대체로 흐림…강원 남부·충청 등 소나기도

금요일인 26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린 가운데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 아침에는 충청권·경북권·경남 동부에서, 늦은 오후에는 제주도에 5㎜미만의 비가 내리겠다. 오후부터 저녁 사이에는 강원 남부 내륙과 산지, 충청 내륙, 전라 동부 내륙, 경상권 내륙에는 5∼20㎜의 소나기가 예보됐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6009900034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