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받을 수 있었네"…이혼하면 재산 말고 '이것'도 나눈다

김동필 기자 2023. 5. 26. 07:03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혼 뒤 '분할연금' 7만명 육박…2010년 대비 15배 급등

29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이혼한 뒤 배우자의 국민연금을 나눠 갖는 이른바 '분할연금' 수급자는 지난 1월 기준 6만 9천437명으로 집계됐습니다.

분할연금 수급자는 2010년까지만 해도 4천632명에 불과했는데, 매년 급증해 올해 1월 기준 15배 가량 늘었습니다. 

이는 자녀를 다 키운 뒤 이혼하는 '황혼 이혼'이 꾸준히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분할연금 액수는 많지 않았습니다. 1월 현재 월평균 수령액은 23만7천830원에 불과했습니다. 

월 수령액별로 보면 20만원 미만이 3만6833명으로 가장 많았고, 20만∼40만원 미만이 2만2686명이었습니다. 

이어 40만∼60만원미만 7282명, 60만∼80만원 미만 2181명, 80만∼100만원 미만 352명, 100만∼130만원 미만 68명, 130만∼160만원 미만 26명, 160만∼200만원 미만 9명 등이었습니다. 

분할연금은 혼인 기간이 5년 이상인 사람이 이혼했을 때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전 배우자의 노령연금을 분할해 일정액을 받도록 한 연금제도로 1999년 도입됐습니다. 

집에서 육아와 가사노동을 하느라 국민연금에 가입하지 못했더라도 혼인 기간 정신적, 물질적으로 이바지한 점을 인정해 일정 수준의 노후 소득을 보장하려는 취지입니다.

분할연금은 우선 이혼한 배우자가 노령연금(수급 연령이 되었을 때 받는 일반적 형태의 국민연금)을 탈 수 있는 수급권이 있어야 하고, 이혼한 배우자와의 혼인 유지 기간이 5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또 분할연금 신청자 본인은 물론 이혼한 배우자가 모두 노령연금 수급 연령(1953년생 이후부터 출생 연도별로 61∼65세, 2023년 현재는 63세)에 도달해야 합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