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엔비디아가 불안한 시장 홀로 끌었다…나스닥 1.7%↑

김정남 2023. 5. 26. 05: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미국 뉴욕 증시가 엔비디아의 ‘어닝 서프라이즈’에 비교적 강세를 보였다. 미국 연방정부 채무불이행(디폴트) 시한인 ‘X-데이트’(6월 1일)가 다가오면서 시장은 긴장감이 만연했지만, 엔비디아가 증시 투심 전반을 끌어올린 것이다. 게다가 부채 한도 협상 역시 일부 진전 기미를 보여 타결 기대감을 높였다.

(사진=AFP 제공)

25일(현지시간)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11% 하락했다. 반면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88% 올랐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1.71% 상승했다.

3대 지수는 장 초반부터 강세 압력을 받았다. 반도체업체 엔비디아가 전날 깜짝 실적 덕에 주가가 25% 가까이 치솟았고, 나스닥 지수를 중심으로 급등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 주가는 장중 394.80달러까지 급등했다. 역대 최고치다.

엔비디아는 전날 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1분기 71억9000만달러의 매출액을 올렸다고 밝혔다. 월가 전망치(65억2000달러)를 큰 폭 웃돌았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1.09달러로 시장 예상치(0.92달러)를 상회했다. 특히 엔비디아는 2분기 매출액이 11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시장 예상치(71억5000달러)를 무려 50% 이상 웃돈 수치다.

엔비디아의 호실적은 인공지능(AI) 덕이다. 엔비디아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전문 제조업체다. 챗GPT 같은 생성형AI를 위한 거대언어모델(LLM)을 자체 개발하려면 중앙처리장치(CPU)를 도와줄 GPU 같은 보조칩이 필요한데, 엔비디아의 칩이 최적화돼 있기 때문이다. AI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에 나서고 있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빅테크들은 데이터센터 성능을 키우기 위해 엔비디아의 칩을 대거 사들이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의 시총 역시 불어났다. 이날 시총 규모는 1조달러에 육박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사우디 아람코, 알파벳(구글 모회사), 아마존에 이은 세계 6위다. 다른 빅테크 주가에도 호재로 작용했다. AMD 주가는 현재 11% 이상 올랐다. 이외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메타(페이스북 모회사) 등의 주가도 강세를 보였다.

서튜이티의 딜런 크레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매크로 포인트는 기술 혁신이 경기 둔화 혹은 더 높은 금리의 역풍을 능가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기술주와 성장주는 죽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부채 한도 상향 협상은 여전히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전날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인 피치가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AAA’로 유지하면서도 향후 하향이 가능한 ‘부정적 관찰대상’으로 지정한 여파가 이날 이어졌다. 다우 지수가 장중 내내 약보합권에 머문 것은 이 때문이다.

그나마 백악관과 공화당간 협상이 일부 진전을 보이고 있는 소식이 전해지며 3대 지수는 오후장 들어 상승 폭을 약간 키웠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신임 합참의장 지명 행사에서 “지금껏 공화당과 협상은 생산적이었다”며 “디폴트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나아갈 유일한 방법은 초당적인 합의”라며 “이에 도달할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

공화당 소속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 측 협상팀인 개럿 그레이브스 하원의원은 이날 “약간의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주 내 합의 가능성을 기대케 하는 대목이다.

경제 지표는 대체로 예상을 웃돌았다. 미국의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전기 대비 연율 기준) 잠정치는 1.3%로 나타났다. 앞서 나온 속보치(1.1%)를 상회했다. 미국 성장률은 속보치와 잠정치, 확정치로 세 차례 나눠서 나온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지난달 전미활동지수(NAI)는 0.07을 기록하면서 전월(-0.37) 대비 상승했다. 3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이는 모두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긴축을 지지하는 지표라는 평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은 이날 오후 현재 연준이 다음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25~5.50%로 25bp(1bp=0.01%포인트) 올릴 가능성을 48.2%까지 높여 잡았다. 전거래일 36.4%보다 큰 폭 높다.

김정남 (jungki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