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시장 “기술·실증·인재로 미래산업도시 광주 완성할 것”

홍행기 2023. 5. 26.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광주를 미래산업 기회도시로 육성해 오는 2030년 생산액 101조원, 고용인원 11만명 그리고 부가가치 33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광주 대표산업 2030 비전'이 제시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24일 북구 첨단산단 이노비즈센터에서 '광주 대표산업 2030 비전 보고회'를 열고 "미래산업도시 광주는 '기술, 실증, 인재'로 완성된다"며 "첨단기술을 선도하는 도시, 혁신기업이 태어나고 성장하는 도시, 창의인재가 모이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 대표산업 2030 비전 제시
“반도체·데이터 등 9대 산업 육성
생산 101조원·고용 11만명 달성”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 24일 광주이노비즈센터에서 열린 ‘광주 대표산업 2030 비전보고회’에 참석, 비전보고를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를 미래산업 기회도시로 육성해 오는 2030년 생산액 101조원, 고용인원 11만명 그리고 부가가치 33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광주 대표산업 2030 비전’이 제시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24일 북구 첨단산단 이노비즈센터에서 ‘광주 대표산업 2030 비전 보고회’를 열고 “미래산업도시 광주는 ‘기술, 실증, 인재’로 완성된다”며 “첨단기술을 선도하는 도시, 혁신기업이 태어나고 성장하는 도시, 창의인재가 모이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강 시장은 “세계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광주는 고부가가치 제조업 비중은 낮아지고 지역 대표산업을 이끌어갈 앵커기업은 여전히 부족하다”며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전환하기 위해선 기술과 인재, 산업과 실증이 하나로 연결된 기술지역(테크노폴)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총 47개 과제에 9700억원을 투입해 기술개발, 시험인증, 제품·서비스 상용화의 선순환 구조를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글로벌 산업 흐름과 현 정부 산업정책에 맞춰 광주 9대 대표산업 및 추진 전략도 발표했다.이를 통해 광주산업의 규모를 키우고 일자리를 늘려 오는 2030년에는 생산액 101조원, 고용인원 11만명, 부가가치 33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복안이다.

먼저 ‘2대 도전산업’으로 미래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산업인 ▲반도체 ▲데이터산업을 육성하고, ‘5대 전략산업’으로 ▲모빌리티 ▲인공지능(AI) ▲문화콘텐츠 ▲에너지 ▲메디헬스케어산업을 선정했다. 또 ‘2대 기반산업’으로 지역의 근간인 ▲광융합·가전 ▲스마트뿌리산업을 지속 성장시킨다는 방안을 내놓았다.

광주시는 비전 발표를 통해 모빌리티, 인공지능(AI), 에너지 산업 등 광주 지역 대표산업들을 발판으로 첨단과학산업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3대 추진전략도 발표했다. 3대 추진전략은 ▲R&D 역량고도화를 통한 초격차 기술확보로 고부가가치 산업전환 ▲실증기반 기업성장 지원으로 글로벌 미래산업 중심도시로 도약 ▲사람 중심 미래가치 투자로 지속가능한 성장동력 확보 등이다.

광주 홍행기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