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통 조이는 ‘살인 연기’… 조리실 폐암 공포 여전 [죽음의 급식실 上]

김기현 기자 2023. 5. 26. 05:0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발암물질 ‘조리흄’ 흡입 주된 원인
전문가 “유관기관 대책 제자리걸음”
도교육청 “적합한 지원 방식 검토”
‘급식종사자 폐암’이 산업재해로 인정받은 지 2년이 지났지만, 경기도내 학교 급식 조리실 환경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급식종사자가 일을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급식종사자 폐암’이 산업재해로 인정받은 지 2년이 지났지만, 경기도내 학교 급식 조리실 환경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특히 경기도교육청은 대대적인 조리실 시설 개선 사업을 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원 수준이 기존 시설 유지에 그치면서 사실상 방관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25일 경기도교육청과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 등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도내에서 폐암 판정을 받은 급식종사자는 총 32명이다. 올해 4월까지 급식종사자 1만1천426명을 대상으로 한 폐CT 검진에서 폐암 의심 판정을 받은 급식종사자도 125명에 달한다.

의료계에서는 급식종사자의 폐질환이 기름을 사용한 튀김, 볶음, 구이 등의 조리 시 나오는 발암물질 ‘조리흄(cooking fumes)’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도교육청은 예산 16억5천만원을 투입해 지난 3월부터 각 학교를 대상으로 ‘환기설비 전수점검’에 나서기도 했다. 이번 전수조사는 급식 조리실에 설치된 환기설비가 ‘고용노동부 학교 급식 조리실 환기설비 설치 가이드’에 적합한 지 여부를 확인해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도교육청은 또 지난해에도 제1회 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에 ‘급식실 개선’ 명목의 500억원을 편성해 ▲급식시설 및 기기 확충 ▲급식실 환기설비 점검 ▲급식 종사자 폐암 건강검진 등을 하겠다고 나섰다. 현재까지 도내 전체 조리교 2천291교 중 ▲환기설비 개선 200교 ▲급식실 현대화 33교 ▲신설교 급식기구 지원 12교 ▲급식시설 및 기기 확충 1천348교 등의 지원이 이뤄졌다.

문제는 이러한 대대적 지원 사업에도 근로환경 자체는 제자리걸음만 걷고 있다는 점이다. 도교육청의 지원이 주로 ‘배기설비 개선’에만 치중되면서 사실상 사태를 키워온 환기 관련 부분의 한계는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국제암연구소는 조리흄을 폐암의 위험요인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폐암 발병 확률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에 환기, 즉 탁한 공기를 맑은 공기로 바꾸는 급기 시설이 필요하지만, 교육청의 관련 사업은 배기 개선에만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승현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 조직부장은 “도교육청의 지원은 과거 시설을 그대로 유지하는 수준에 그친다”며 “도교육청은 각 학교의 신청이 있어야만 지원을 해주는 등 컨트롤타워로서 역할도 제대로 못 하고 있다”고 일갈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그동안 배기시설 위주로 개선이 이뤄졌던 건 사실”이라며 “현재 진행 중인 전수점검을 마치면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지원할지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기현 기자 fact@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