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에서] 한전 배당은 살뜰히 챙긴 文정부
한전은 순이익이 1조9515억원을 기록한 2020년 결산 당시 그 40%에 해당하는 7806억원을 현금으로 배당했다. 앞서 2018년과 2019년 각각 1조952억원, 2조5950억원 적자를 기록하며 2년간 무배당 한 뒤 코로나로 반짝 흑자를 내자 대규모 배당에 나선 것이다. 당시 이사회 관계자는 “2년 동안 배당을 하지 못한 상황에서 흑자를 내자 주주들로부터 배당 압력이 강했다”고 전했다.
한전의 지분 중 51.1%는 정부 몫이다. 산업은행이 32.9%, 기획재정부가 18.2%를 나눠 갖고 있다. 주주들의 배당 압력이란 결국 민간 소액주주들보다는 정부로부터 왔다는 얘기다. 산업은행은 정부가 지분 100%를 보유한 국책 은행이기 때문에 결국 당시 배당액 중 3000억원이 넘는 돈이 정부의 호주머니로 들어갔다.
문재인 정부는 “원전을 중단해도 전기 요금은 올리지 않겠다”는 취지로 수차례 공언하며, 탈원전을 밀어붙이면서도 전기 요금은 꽉 눌렀다. 그 때문에 흑자 기업이던 한전은 2018년과 2019년 수조원 규모 적자에 빠졌다. 그러다 2020년 코로나 충격으로 유가와 천연가스 같은 국제 에너지 가격이 급락해 일시적으로 흑자를 내자 기다렸다는 듯이 한전의 곳간을 헐어간 것이다. 2021년 5조8000억원이 넘는 적자를 시작으로 올 1분기까지 누적 영업손실이 44조원을 웃도는 것을 감안하면 다가올 비극을 상상도 못한 채 배당 잔치를 한 셈이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5년 서울 삼성동 한전 부지를 현대차에 10조원에 매각하며 순이익이 10조1657억원을 기록했을 당시 한전 배당은 1조9901억원이었다. 전체 순이익 중 배당금은 20%를 밑돌았다. 그런데 2020년에는 순이익의 40%를 배당했다. 사상 최대 규모 흑자를 낸 해보다 배(倍)나 더 큰 비율로 배당을 실시한 것이다. 대표적인 배당주로 꼽히는 정유주도 순이익 중 배당금 비율은 20% 안팎이다.
배당은 주주로서 당연한 권리라고 말할 수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정부로서는 공기업에서 흑자가 났을 경우 배당을 받는 게 원칙”이라며 “적정한 배당을 받지 않아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적자가 누적된 한전의 경우를 두고는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배당으로 챙겨간 행태는 문제라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공기업의 대주주인 정부가 호황에는 배당으로 빼가면서 적자가 쌓일 땐 방만 경영을 질책하며 자구책을 강요하는 것을 두고 이율배반적이라는 말도 나온다.
민간 기업들은 호황일 때도 현금을 쌓으며 미래를 대비한다. 마치 평시에 둑을 높이 쌓아 해일을 대비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하지만 지난 문재인 정부는 한전이 2년 연속 적자에서 잠시 벗어나자 둑을 쌓기는커녕 배당으로 빼먹기에 바빴다. 가뜩이나 낮아진 둑마저도 태양광 투자로 구멍을 여기저기 냈다. 이후 한전의 적자는 눈 더미처럼 불어났고, 그 결과 지난 1년 사이 전기 요금을 단기간에 40% 가까이 올려야 했다. 그 부담은 결국 고스란히 국민들의 몫이 됐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조원 규모 불법 도박사이트 운영책 필리핀에서 체포
- “예약된 비행기표가 없습니다”…日 가려던 케이윌, 공항서 막힌 이유
- 다시 찾아온 동장군...내일 영하12도 맹추위
- 우즈, 아들과 우승컵 들까...가족 이벤트 대회 첫날 선두
- 전체 인구 1% 한국 부자, 전체 금융자산 59% 갖고 있다
- 회사 돈 빌려 53억 아파트 매입… 위법 의심 외국인 부동산 거래 282건 적발
- 홍준표 “사람 현혹해 돈벌이하는 ‘틀딱 유튜브’ 사라졌으면”
- 기아, 인도에서 콤팩트 SUV ‘시로스’ 세계 최초 공개
- 조국혁신당, 한덕수 탄핵 소추안 준비...“내란 방조, 부화수행”
- 금감원, 뻥튀기 상장 논란 ‘파두’ 검찰 송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