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발사 성공에 외신 주목…“韓, 역내 우주 경쟁서 희망”

이혜원 동아닷컴 기자 2023. 5. 25. 22: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3차 발사에 성공하자 외신들은 한국이 자체 기술로는 처음 실용급 위성을 궤도에 안착시키며 항공 우주 프로그램의 또 다른 핵심 단계를 밟았다고 평가했다.

25일 AP통신은 "한국에서 자체 제작한 3단 누리호 발사체가 관측 임무 수행용 등 8개의 실용급 위성을 탑재하고 이륙했다"며 "이번 발사는 한국의 우주 기반 감시 시스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뉴스1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3차 발사에 성공하자 외신들은 한국이 자체 기술로는 처음 실용급 위성을 궤도에 안착시키며 항공 우주 프로그램의 또 다른 핵심 단계를 밟았다고 평가했다.

25일 AP통신은 “한국에서 자체 제작한 3단 누리호 발사체가 관측 임무 수행용 등 8개의 실용급 위성을 탑재하고 이륙했다”며 “이번 발사는 한국의 우주 기반 감시 시스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AP는 발사 성공 공식 발표에 앞서 “이번 발사에 성공하면 한국은 중국, 일본, 인도 등 아시아 이웃 국가들과의 역내 우주 경쟁에서 따라잡을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로이터통신도 누리호의 3차 발사 성공에 대해 “아시아 이웃 국가들과 치열한 우주 경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위한 노력의 주요 단계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APTN은 “한국이 자체 제작한 발사체를 이용해 실용급 위성을 처음으로 쏘아 올렸다”며 “지난해에도 누리호에 위성을 탑재했으나 당시는 주로 ‘성능 검증용’ 위성이었다”고 차이점을 설명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한국이 국내에서 개발한 우주선으로 위성을 궤도에 올릴 수 있다는 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줬다”며 “한국은 지난해 시험 위성을 실은 누리호를 발사하며 러시아, 미국, 프랑스, 중국, 일본, 인도에 이어 1t급 이상의 위성을 실을 수 있는 우주 발사체를 개발한 7번째 국가가 됐다”고 강조했다.

외신은 이번 발사 성공의 의미를 북한과의 경쟁 구도와 연관해 해석하기도 했다. AP는 전문가를 인용해 “이번 발사는 한국이 군사 첩보 위성을 운용하고 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하는 기술과 노하우를 축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한국은 이미 북한 전역에 도달할 수 있는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미래 안보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장거리 미사일이 필요하다”고 보도했다.

APTN도 전문가 의견을 인용해 “한국의 이러한 발사체 기술은 북한과의 적대적 경쟁 구도 속에서 더 큰 미사일과 정찰 위성 기술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외신은 한국의 우주 개발 계획을 소개하기도 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한국이 누리호 프로젝트 일환으로 2027년까지 3기의 로켓을 추가 발사할 계획”이라며 “10년간 약 16억 달러(약 2조1280억 원)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AFP통신도 “한국은 2032년까지 달에, 2045년까지 화성에 우주선을 착륙시키는 등 우주에 대한 야심 찬 계획을 세웠다”고 밝혔다.

이혜원 동아닷컴 기자 hyewo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