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 항우연 연구자들 “심적 부담 컸지만 지금은 행복해…누리호 자랑스럽다”

나로우주센터(고흥)=송복규 기자 2023. 5. 25. 21: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누리호 첫 실전발사] 고정환 본부장 “전날 발사 연기 아쉬워… 가슴에 아프게 남아있다”
“이젠 한화가 제작… 다양한 위성 실을 걸로 기대”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왼쪽)이 25일 오후 전라남도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브리핑을 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상률 항우연 원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3차 발사가 성공적으로 끝났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5일 오후 7시50분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궤도에 진입해 위성 8기를 사출했다고 발표했다. 실용위성을 싣고 직접 사출한 3차 발사 성공으로 한국도 본격적인 발사 서비스 시장 진입에 가능해졌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소가 제작한 차세대소형위성 2호를 포함한 총 8기의 인공위성을 고도 550㎞ ‘여명-황혼궤도’에 안착시켰다. 비행시간은 총 18분 58초이었다.

사실상 성공 여부는 발사 13분 뒤에 판가름 났다. 주 임무 위성인 체세대소형위성 2호기가 차질 없이 사출됐다. 이어 한국천문연구원의 도요샛과 민간기업 루미르·져스텍·카이로스페이스의 큐브위성이 이상 없이 사출됐다. 다만 4기로 이뤄진 도요샛 한 기는 사출 데이터가 정확히 확인되지 않아 사출 성공 여부를 추후 밝힐 예정이다.

누리호 개발을 총괄한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첫 손님을 태워 굉장히 기쁘지만 (발사 과정에서) 부담이 많았다”며 “전날 발사 준비 과정에서 문제가 있어 심적으로 긴장을 많이 했는데, 다행히 모든 결과가 괜찮아서 행복한 기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누리호가 자기 성능을 잘 보여줘 자랑스럽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이상률 항우연 원장,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 한재흥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소장 브리핑 일문일답.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천문연 도요샛 1기가 사출 확인이 안 됐는데, 성공이라는 표현이 명확한가.

“이번 발사에서 중요한 건 누리호가 목표 궤도에 진입해서 차세대소형위성 2호기를 안전하게 분리하는 게 주 임무라는 점이다. 같이 탑재된 큐브위성들은 부차 임무로 다소 중요도가 떨어진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누리호가 정확하게 들어갔고, 차세대소형위성 2호기가 분리됐다는 점에서 성공이라고 표현했다.”

–발사 40분 후면 위성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데, 도요샛은 왜 아직 확인이 안됐나.

“세종기지에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건 차세대소형위성 2호기에 한해서 적용되는 이야기다. 나머지 큐브위성들은 다르다. 여섯 번째 큐브위성은 누리호에 탑재된 카메라로 확인할 수 없는 쪽에 있었는데, 사출관이 열리고 닫히는 데이터에도 이상한 데이터가 섞여 있어 정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도요샛 1기에 대한 사출 여부는 언제쯤 알 수 있나.

“도요샛이 지상국하고 통신하거나, 지상에서 우주물체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알 수 있을 걸로 보인다. 발사체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른 경로를 통해 알아보면 빠른 시간 안에 확인 될 것으로 보인다. 오늘까지 확인할 수 있다는 건 장담할 수 없다.”

–발사 시퀀스와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문제는 없나.

“발사체는 목표 궤도가 있지만 약간의 오차도 있다. 실제 비행 상황을 미리 프로그래밍해서 찾아가는 과정은 살짝 다를 수 있는데 이번 발사 정도의 오차는 굉장히 정확한 발사라고 평가한다.”

–앞으로 고성능 위성도 쏠 텐데 누리호 추력과 임무 고도는 어느 정도 높일 수 있나.

“누리호 고도화사업 내용에 누리호 개량은 빠져있다. 반복 발사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기술이전을 해 누리호를 제작해서 운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게 목표다. 성능 향상은 예정돼 있지 않다.”

–고정환 본부장이 지휘한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이 올해 6월에 끝난다. 소회가 궁금하다.

“누리호 1차 발사는 실패했지만, 2차 발사는 성공해서 사업을 잘 마칠 수 있었다. 결과가 좋게 마무리돼서 다행이고, 앞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총조립 부분을 잘 준비하는 게 중요하다. 그러면 국내에서 제작된 다양한 위성을 싣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이번 발사와 관련해선) 전날 잘 준비해서 좋은 모습 보여드렸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있다. 하지만 이런 문제가 발생해 배울 게 있다고 본다. 사실 3차 발사를 준비하면서 당연히 성공할 거라고 생각할 텐데 결과가 안 좋으면 어쩌나 걱정을 안고 준비해왔다. 그래서 전날 있었던 발사 연기가 가슴 아프게 남아있다. 그래도 우리가 개발한 누리호가 성능이나 이런 면에서 안정적으로 자기 능력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게 자랑스럽다. 지금까지 같이 한 연구진들에게 정말 감사 드리고 싶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