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고금리 충격에 더 벌어진 ‘소득 양극화’
1년 전보다 0.25배포인트 올라
대기업·고소득층 감세로 더 차이
가구당 월평균 첫 500만원 넘어
고물가·고금리 충격에 정부지원이 끊기면서 중산층과 서민 가구는 실질 소득이 감소했다. 반면 고소득층은 실질소득이 증가해 소득격차가 확대됐다.
윤석열 정부는 대기업, 고소득층 감세를 통해 소비와 투자를 늘리고 재정지출은 줄이는 ‘투자주도성장’을 추진할 방침이어서 향후 소득격차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23년 1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05만4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근로소득이 총소득을 끌어올렸다. 취업자 증가와 임금 상승 영향으로 근로소득(332만6000원)은 1년 전보다 8.6% 늘었다.
반면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이자비용이 치솟으면서 사업소득(80만4000원)은 6.8% 줄었다. 이전소득도 소폭 감소했다. 손실보상지원금 등 지난해 정부 지원이 끊긴 영향이다.
명목소득은 올랐지만 물가 변동을 감안한 월평균 실질소득 증가율은 0.0%에 그쳤다. 소득이 늘었지만 물가도 그만큼 올라 쓸 여윳돈이 없었던 것이다.
눈에 띄는 부분은 분배지표다.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의 격차를 보여주는 ‘소득 5분위 배율’이 전보다 크게 악화됐다. 1분기 5분위 배율은 6.45배로 1년 전보다 0.25배포인트 상승했다. 5분위 배율은 소득 상위 20% 집단의 평균소득을 소득 하위 20% 집단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배율로 양극화를 살펴보는 지표다. 5분위 배율이 낮을수록 분배 상황이 좋다는 의미다.
소득수준별 실질소득을 보면 양극화가 더욱 두드러진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1년 전에 견줘 1.5% 감소했다. 2분위 가구(하위 20~40%)는 -2.4%, 3분위 가구(하위 40~60%)는 -2.1%로 서민층과 저소득층의 실질소득은 하락했다.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실질소득은 1.2% 올랐다. 4분위 역시 0.5% 상승해 증가 흐름을 보였다.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충격이 취약계층에 집중된 것이다.
반기웅 기자 ba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코로나 종료 후 공적지원 끊기자 서민 삶 ‘허덕’
- 한은, 3.5%로 금리 3연속 동결…이창용 “못 올릴 일 없다”
- “나도 부정선거라 생각했었다”···현장 보고 신뢰 회복한 사람들
- 국힘 박상수 “나경원 뭐가 무서웠나···시위대 예의 있고 적대적이지도 않았다”
- 늙으면 왜, ‘참견쟁이’가 될까
-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이사장 해임 “모두 이유 없다”…권태선·남영진 해임무효 판결문 살펴
- 내란의 밤, 숨겨진 진실의 퍼즐 맞춰라
- ‘우리 동네 광장’을 지킨 딸들
- 대통령이 사과해야 되는 거 아니에요? 사과해요, 나한테
- 독일 크리스마스 마켓에 차량 돌진…70명 사상